<불뿜는 전자무역전쟁>(6)인터뷰-한빛은행 김종완 e커머스센터장

 “모든 상거래 환경에서 결제업무의 핵심은 안전성과 신뢰성입니다. 특히 시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는 무역업무는 결제 기능의 신뢰성 확보가 관건입니다.”

 한빛은행 김종완 e커머스센터장(43)은 결제·인증·거래자보호 업무의 완벽한 온라인 솔루션을 마련하는 일이야말로 전자무역 시대를 준비하는 거의 전부라고 강조한다. ‘전자’ 무역이란 결제·물류 처리에 따른 과다한 수작업과 문서업무를 비대면 ‘인터넷’으로 해결하자는 것에 다름아니기 때문이다. 그가 바라보는 전자무역의 해결과제를 들어봤다.

 ―결제환경 변화를 어떻게 전망하는가.

 ▲전자무역 결제의 안전성은 크게 거래당사자·거래내용·결제처리 등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달렸다. 이 모든 프로세스는 물론 인터넷 방식으로 소화될 것이다. 현재 국내외 은행권이 전자문서·전자지불·인증 시스템으로 개발하는 솔루션들은 모두가 인터넷 비대면 거래의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들이다. 아이덴트러스나 볼레로가 대표적인 사례다. 또한 전통적인 국제결제망인 SWIFT도 내년부터는 기존 폐쇄망을 인터넷을 통해 단계적인 개편을 시도할 계획이다. 이르면 내년부터는 전자무역 결제·인증 서비스의 맹아적인 형태가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결제·인증·거래자보호를 위한 과제는.

 ▲우선 세계적인 추세를 발빠르게 파악하고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해외 금융기관이나 대형 화주·선사·항공사들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이들이 주도하는 전자무역 흐름에 적극 동참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국내에서는 무엇보다 초기 시스템의 표준화가 중요하다. 은행과 기업간, 은행간에도 국내용 결제시스템의 표준모델을 만들어야 하고, 시스템 인터페이스와 무역 관련 문서들의 통일화 작업이 시급하다.

 ―제도적인 개선책은.

 ▲손봐야 할 대목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현행 전자거래법·전자서명법은 물론 대외무역법·무역자동화법 등 유관 법률들간의 정비가 이뤄져야 하고, 글로벌 상거래에 걸맞지 않은 부분들도 대폭 손질해야 한다. 이와 함께 무역거래는 법적 분쟁의 소지가 많고 해결도 쉽지 않은 만큼 더욱 면밀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기업들이 전자무역 이용에 적극 나설 수 있도록 세제지원·투자혜택 등 다각적인 지원책도 강구돼야 한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