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으로 고사위기에 놓인 핸즈프리 업계가 또 한번 시험대에 오른다.
경찰청의 운전중 이동전화 사용에 대한 단속방침이 두 차례나 연기되면서 재고부담과 현금유동성 위기를 겪어 온 핸즈프리 업체들이 기나긴 어둠의 터널을 뚫고 재기를 모색하고 있다.
현재 핸즈프리 업체들은 지난 6월의 특수가 재현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다소 비관론을 견지하면서도 11월 이후의 수요회복에 한가닥 희망을 걸고 있는 모습이 역력하다.
◇시장 상황=운전중 이동전화 사용에 대한 단속을 일주일 가량 앞둔 10월말 현재 핸즈프리 시장에는 여전히 암울한 먹구름이 드리워져 있다. 지난 6월말 운전자들이 앞다퉈 제품을 구매하면서 핸즈프리가 최대 황금시장으로 부상하던 때와는 완전히 대조적인 모습이다.
특히 경찰청이 지난 14일 운전중 전화를 걸거나 받는 행위, 핸즈프리 다이얼을 누르는 행위, 핸즈프리 마이크를 손으로 잡고 입에 가까이 대는 행위를 단속, 범칙금을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나 시장은 호전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운전중 이동전화 사용 금지법이 단속보다는 계도 위주로 이뤄질 것으로 판단한 소비자들이 구매시기를 늦추고 있기 때문이다.
웨스텍코리아의 한 관계자는 “경찰청의 발표 이후에도 시장 상황에 전혀 반전이 없다”면서 “핸즈프리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너무 떨어져 이제는 법제화가 시장 활성화를 유발하는 기폭제가 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번 경찰청 발표의 요지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가중처벌을 주고 보험처리에서 혜택을 줄이는 형태의 사후대책에 초점이 맞춰져 핸즈프리 수요를 창출하기에는 미흡하다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다.
이와 관련, 알파테크의 한 관계자는 “경찰청이 단속의 연기사유로 홍보가 미흡하다는 점을 들었으나 지난 7월과 현재상황은 전혀 달라진 것이 없다”며 “국가경제의 전체 손실을 생각하지 않고 무책임하게 정책을 입안·운영하는 정부에 대해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성토했다.
게다가 자동차회사들이 핸즈프리를 기본사양으로 내장한 차량을 출시하고 있는 것도 핸즈프리 업체들의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
현대·기아·대우자동차 등 국내업체는 물론 볼보자동차코리아·BMW코리아 등 수입차업체들도 핸즈프리 장착 차량의 비중을 높이고 있다.
◇전망 및 업계의 대책=지난 6월말까지 핸즈프리 시장에는 진입장벽이 낮은 제품의 특성을 반영하듯 기존 메이커는 물론 유통 무역업체 중전기 생산업체 및 통신기기 생산업체까지 가세하면서 춘추전국시대를 방출케 했다.
실제 지난해말 20여개에 불과했던 차량용 핸즈프리 생산업체는 지난 6월 100여개 이상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앞으로의 핸즈프리 시장은 지난 5개월의 위기를 극복한 10여개의 핸즈프리 전문생산업체가 주도하는 시장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지난 8월 이후 핸즈프리 도매가격이 크게 떨어지면서 유통질서가 무너진 데다 수요급감으로 현금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해 부도 도미노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자티전자·웨스텍코리아·한경프리텔·알파테크 등 시장 선도기업들은 양방향 듀플렉스 제품을 통해 대체수요 확보와 수출시장 개척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자티전자는 개당 18만원에 판매되는 양방향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웨스텍코리아도 양방향 통화를 구현해주는 DSP칩을 내장한 제품을 오는 11월에 내놓을 예정이다.
현재 중국에서 필드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알파테크 역시 CDMA TDMA GSM방식의 이동전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핸즈프리 솔로링Ⅲ를 통해 해외시장을 적극 노크한다는 방침이다.
<김원석기자 stone201@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