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회장 김재철)가 내년부터 전자무역사업을 협회 차원의 중점 프로젝트로 추진할 뜻을 보임에 따라 소관부처인 산업자원부와 실무기관인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이 이에 대해 반대 의사를 나타내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아더앤더슨코리아의 ‘무역협회 중장기 발전 방안’ 컨설팅 결과에 따라 최근 전자무역 테스크포스를 구성한 협회는 산자부를 비롯해 재경부·건교부·해양수산부 등 수출입 관련 유관 부처와 기관을 모두 한데 묶는 이른바 ‘e트레이드 그랜드 네트워크’ 구축을 골자로 인프라는 물론 대민 서비스까지 전자무역사업의 전면에 내세운다는 계획이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그동안 협회가 전자무역에 대해 방관자적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는 내부지적과 컨설팅 결과 등에 따라 이같이 결정했다”며 “갈수록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전자무역을 협회가 직접 관리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가 전자무역을 줄곧 추진해온 산자부와 KTNET의 반응은 냉담하다. 산자부 무역투자실 고위 관계자는 “아직 협회로부터 구체적인 보고는 받지 못했으나 협회의 발상은 산자부의 역할과 기능에 상치되는 측면이 있고, 관련 사업 역시 KTNET 등을 통해 이미 추진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해 3자간 역할 조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KTNET 역시 지금까지 추진해온 전자무역 인프라 구축에 이어 내년부터는 본격 서비스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협회의 정책 변화에 따라 내년도 사업 계획을 대폭 수정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KTNET은 협회가 전액 출자해 설립된 자회사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협회가 막대한 자금력만 믿고 국가 전자무역정책 수립은 물론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까지 전담하려 하고 있다”며 “지난 10여년간 산자부와 KTNET을 중심으로 추진돼온 전자무역 육성책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협회의 몫을 찾는 방안이 강구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