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팩코리아(대표 강성욱 http://www.compaq.co.kr)에 2002년은 남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지난해 9월 발표된 HP와의 합병이 예정대로 이뤄질 경우 어쩌면 올해가 ‘컴팩’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할 수 있는 마지막 해가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내부적으로는 많은 혼란이 있을 것이라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지만 당사자인 컴팩은 이와 상관없이 기존 사업전략을 토대로 2002년 사업을 전개해나갈 계획이다.
컴팩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토털 IT솔루션 제공자로서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미 지난해 본사 차원에서 솔루션 조직을 새로이 신설하여 각 영업조직 및 제품담당조직과 유기적인 관계에서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춘 컴팩은 올해는 SI사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흥국생명 신보험시스템, 대구은행 CRM 등 굵직한 SI프로젝트를 수주하며 기세를 올린 컴팩은 통신·제조·금융 등 전통적인 SI시장과 함께 최근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전자정부 관련 SI시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회사는 최근 SI부문에 신규 인력 30명을 보강, 350여명의 SI인력을 확보해 사업강화를 위한 기본 준비를 마쳤다.
컴팩은 올해에는 스토리지 사업에도 무게를 싣는다는 방침이다. 특히 세계 스토리지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비해 국내 시장에서는 인지도가 떨어진다고 보고 이를 만회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컴팩은 윈도NT·유닉스 등 다양한 운용체계를 지원한다는 특성을 살려 개방형 스토리지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NT기반 스토리지 솔루션을 가장 많이 갖추고 있다는 점과 자사의 알파서버를 비롯해 다른 회사의 유닉스 서버시스템과도 호환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선의 솔라리스 운용체계와의 호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솔라리스 기반의 유닉스서버 시장을 공략 0순위로 삼았다.
컴팩은 지난 2000년 발족한 e코리아 프로그램을 통한 협력 사업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 이 회사는 현재 950여개에 달하는 e코리아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새로운 시장 창출은 물론 국내 IT산업 발전도 함께 도모하고 있다.
PC사업은 꾸준한 성장을 거듭, 지난해 점유율 2위에 오른 노트북사업을 중심으로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점유율 상승의 원동력이 됐던 온라인 및 통신판매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올해는 시장 점유율을 20%대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서버사업은 제품 성능 개선과 영업망 확충에 힘쓰고 특히 SI사업과 연계한 영업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사장(강성욱)인터뷰>
―지난해 사업을 평가한다면.
▲매출액은 전년과 비슷한 6500억원 정도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에는 닷컴기업의 수요 감소로 인해 서버사업은 매출이 다소 줄었다. 하지만 PC부문 매출이 크게 성장해 전체 매출액을 전년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올해 주력 사업은 무엇인가.
▲‘토털 IT컴퍼니’로 자리잡는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SI사업을 강화하고 그동안 부진했던 스토리지 사업에도 더 많은 힘을 쏟을 것이다. 또한 PC사업 강화를 통해 노트북 시장 점유율을 20%대로 끌어올리고 데스크톱PC 부문도 ‘탑5’ 업체로서의 위상을 다지고자 한다.
―올해 국내 IT시장을 전망한다면.
▲기업의 투자심리가 어느 정도 회복돼 지난해에 비해 3∼5% 정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월드컵·대통령선거 등으로 인해 금융권 등에서 대대적인 변화를 추구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정부의 부양성 예산으로 공공 관련 대형입찰이 많을 것이다.
―SI사업 강화안은.
▲SI인력을 350여명으로 확충했다. 기술적인 면에서는 지난해 EAI와 EIP에 대한 수요가 컸던 만큼 이 부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그 동안 준비해온 IMT2000솔루션을 바탕으로 통신권도 적극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ZLE(Zero Latency Enterprise)’비즈니스 도입을 위해 조직을 재정비했다.
―HP와의 합병 후를 전망한다면.
▲합병과 관련해서는 본사의 지시를 기다릴 뿐이다. 합병 이전에 합병 후 제품 정책 등을 언급할 수는 없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