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대통령` IT정책 10대 과제](1)전문인력양성-설문 분석 결과

 설문에 참여한 2만9281명의 네티즌은 차기정부의 최우선 IT정책과제(3개 항목 선택·1만4125표·19.0%)로 전문인력 양성을 꼽았다. 전문인력 양성은 2위를 차지한 IT인프라 확충, 3위 정보격차 해소와 6000여표에 이르는 비교적 큰 표 차이를 보였다.

 최악의 IT불황과 구직난 속에서도 전문인력양성이 차기 정부의 단연 최고 IT산업 정책과제로 꼽힌 것은 IT산업의 급격한 팽창시점에서 절대적 수의 부족이 지적되던 때와 달리 ‘쓸 만한 인력이 없다’는 질적인 문제를 지목하고 있다.

 IT인력은 지식경제의 성장엔진에 해당된다. ‘10년 뒤 우리나라를 먹여 살릴 산업’으로 꼽히는 정보기술(IT)·바이오기술(BT)·나노기술(NT)·환경기술(ET)·우주항공기술(ST)·문화콘텐츠기술(CT) 산업으로 방향타를 돌려야 한다는 ‘생존적 당위’를 위해 전문인력을 키워내야 한다는 공통된 인식이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거듭 우리 산업의 아킬레스건으로 지목돼 온 전문인력 양성이 차기 정부에도 최우선의 IT정책 과제로 꼽힌 것은 제대로 된 전문인력을 키워내지 못하는 교육 시스템에 대한 불만이 해소되지 않았음을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문인력 양성은 응답자의 나이나 지지후보, 직업, 성별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계층이 최우선 과제로 뽑는 공통된 현상을 보였다. 전문인력 양성이 모든 계층에서 공히 최우선 과제로 꼽히는 것은 현장과 교육과의 괴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투자부족, 열악한 교육환경 등 해묵은 과제들에 대한 문제점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져있음을 의미한다. 후보간 성향 차이, 컴퓨터/인터넷·공무원·전문직·사무직 등 직종차이와 무관하게 모든 연령에서 전문인력 양성을 꼽은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로 보인다.

 최근 전경련의 조사자료는 우리나라의 교육시스템을 49개 조사대상국 가운데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보다 열악한 44위로 평가했다. 고급엔지니어도 36위로 크게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80년부터 85년까지 공학계 대학정원 증가율은 28%, 25%를 기록한 인문계, 사회계에 반해 14%에 그쳤다. 90년대에도 이 불균형은 해소되지 않았다. 현재도 이공계를 선택하는 대학생이 전체 응시자의 27%에 그치고 있으며 그렇게 배출하는 연간 21만명의 인력 중 85% 이상이 전문대 이하 수준의 인력이다.

 업계에서는 실전투입이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지 못하는 공공교육이나 대학교육에 대해 차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으며 교육의 당사자인 교수들은 열악한 환경과 부족한 투자에 답답해 한다. 노동부, 정보통신부, 산업자원부 등이 경쟁적으로 마련한 IT인력 육성 프로그램도 주먹구구식의 단기 과정이 대부분이어서 실효가 의심스럽다는 반응이다.

 누구보다 대학 등 교육기관에서 배운 지식으로는 ‘전문인력’으로 인정받기 힘들다는 학생들의 불만이 가장 컸다. 설문조사에서도 미세한 차이지만 연령별로는 20대, 학력별로는 대학 재학중인 학생의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지지율이 각각 20.1%, 20.5%로 평균 19.0%보다 높았다.

 <김용석기자 ys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