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선진국도 전문인력 양성에 매달리는 것은 마찬가지다.
미국은 우수한 교육시스템과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시스템을 기반으로 지난 80년대 일본경제의 추격을 물리치고 다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미국은 80년대말 냉전해체를 계기로 비대한 군수산업의 전문인력을 민수분야로 전환하는 데 주력했고 그 결과 안보전략에서 개발해 온 각종 인터넷과 광통신 등 첨단기술이 민간경제 활성화에 엄청난 기여를 했다. 이는 시장상황의 흐름에 맞춰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재배치를 가능하게 만드는 미국경제 특유의 역동성에 기인한다. 그러나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는 IT분야에서 인력부족은 계속 심화되고 실리콘밸리는 필요인력의 3분의 1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은 해외 IT인력의 유입에 매우 관대한 정책을 도입했으며 인도·동남아의 IT전문인력 유치에 나섰다. 또 교육부는 미국내 교사 40만명을 대상으로 IT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1억3000만달러의 예산을 배정하기도 했다.
유럽 국가의 경우 상대적으로 산업현장의 변화에 교육시장이 비탄력적인 것으로 지적받아 왔으나 최근 IT분야 인력부족이 100만명을 넘어서자 각 정부 차원의 인력양성책이 선보이고 있다.
독일의 경우 해외 IT인력 2만명에 이민비자를 추가발급하는 한편 IT분야 국가자격증제도를 확대하고 있다. 영국·스페인도 모자라는 IT전문인력 충원을 위해 까다로운 이민제도 개선에 나섰으며 아일랜드의 경우 향후 7년간 20만명의 해외전문인력을 유치키로 결정했다.
교육열이 높은 인도는 특히 SW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인정받고 있으며 수천개의 대학과 민간 교육기관을 통해 정예 IT전문인력이 연간 110만명 이상 배출되는 상황이다.
뛰어난 영어실력과 실무능력까지 겸비한 이들 인도IT인력은 미국·유럽서도 인정받고 있으며 뉴델리와 뭄바이의 몇몇 IT교육기관은 세계 공인IT교육기관으로 입지를 굳혔다.
대만의 경우 자체적인 첨단 전문인력 양성책 외에 미국의 실리콘밸리나 대학연구소에서 근무하는 고급 화교인력 유치에 매우 적극적이다.
특히 대만은 이를 위해 외국인 및 해외거주 화교에도 내국인과 동등한 권리를 인정하는 등 국적을 불문하고 우수 두뇌를 포용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어 외국노동자 유입에 인색한 한국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배일한기자 bailh@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