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대통령` IT정책 10대 과제](4)각계 벤처전문가들이 IT대통령에 바란다

 벤처기업 및 캐피털, 학계 전문가들은 차기 IT대통령이 벤처육성과 관련해 중점을 둬야 할 것으로 정부와 민간의 명확한 역할 분담 및 시장기능에 충실한 정책추진을 높게 꼽았다.

 이와 함께 지난해 잇따라 터진 벤처관련 ‘게이트’로 인해 일반의 대벤처인식 악화가 확산되는 것을 막는 게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또 정권교체 이후에도 일관성을 갖고 지속적인 벤처 육성 및 지원정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장흥순 벤처기업협회장은 “디지털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있는 21세기를 맞아 그동안 정부는 테크놀로지 푸시정책을 전개해 왔는데 이젠 양산된 기술혁신 기업을 소화할 수 있는 시장 조성정책이 필요하다”며 “콘텐츠·솔루션 등 벤처기업들이 확대된 IT인프라를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영남 여성벤처협회장은 “현 정부의 벤처육성책은 IMF 극복, 디지털 혁명 수행 등 성과를 거뒀지만 일부 불법벤처의 사례가 결국 사회의 오해와 유망벤처의 사기저하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차기 정부는 최근 몇년간의 지원과 투자 성과가 꽃피울 수 있도록 벤처정책에 대한 확신을 바탕으로 BT·NT 등 신기술과 서비스가 연계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새로운 시기는 규모의 경제보다는 스피드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이 중요하므로 기술개발과 해외시장 진출 지원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철수 안연구소 사장은 “산 중턱에 좋은 공터가 있다면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산 중턱까지 도로를 닦고 그곳 평지를 깨끗이 정리하는 것”이라며 “벤처기업 자체에 대한 직접투자보다는 시장을 형성하고 법 규제를 완화하는 등 지속적 성장을 위한 여건 조성에 정부의 역할이 집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강정호 코스닥증권시장 사장은 “97년 IMF극복과정에서 확인됐듯이 국내 기업은 지식기반의 IT·BT 등 특화된 산업에 주력해야 한다”며 “이젠 단순히 벤처기업의 수를 늘리기보다는 대기업을 포함한 모든 기업들이 생존전략 차원에서 벤처정신을 돼새겨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장범식 숭실대 교수는 “정부의 벤처육성 틀은 민간부문과의 역할구분을 통해 직접적 개입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다만 정부는 21세기의 중요산업인 BT 등 장기 투자가 필요한 부분을 지원하고 나머지는 벤처 전문기관쪽으로 역할을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최근 몇몇 게이트로 인한 악화된 벤처인식으로 차기 정부의 벤처정책에 대해 기업의 불안심리가 확산되고 있다”며 “벤처생태계가 초기를 벗어나 성장단계에 있는 만큼 차기 정부는 그간의 성과에 대한 평가작업과 벤처정책의 연속성 유지를 통해 이러한 불안심리를 해소하는 게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곽성신 우리기술투자 사장도 “연이은 벤처게이트는 사실상 진정한 벤처와 무관한데 이것이 전체 벤처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지속적 벤처육성 의지를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종태 카이스트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는 “이젠 정책방향보다는 시행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벤처관련 민간 전문기관과 산업을 발전시켜 이들을 중심으로 한 간접적 지원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벤처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송낙경 KTB인큐베이팅 사장은 “정보통신산업의 발전과 투자는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가 되고 있다”면서 “이젠 선택과 집중의 원리에 따른 벤처지원정책을 통해 전통산업을 아우르는 국가적 부가가치 제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환기자 victo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