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카탈로그 저장소 구축 `주춤`

 B2B 환경조성을 위한 기반작업인 전자카탈로그 저장소(레포지터리) 구축사업이 최근 들어 주춤하고 있다. 얼마 전 국제표준 분류체계의 양분으로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 저장소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관련 경제단체들이 예산 및 수익성 확보에 난색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자카탈로그 저장소 사업이 더디게 진척될 경우 현재 진행중인 업종별 B2B 시범사업은 물론, 전통산업 전반의 e비즈니스 확산에도 적지않은 부담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업계 및 단체에 따르면 국내 최대 전자카탈로그 저장소 ‘코리안넷’의 운영기관인 상공회의소 산하 한국유통정보센터는 지난해 10월 이후 시스템 기능향상 작업을 사실상 중단한 상태다. 또 e코리아 추진계획의 일환으로 30만개 기업의 전자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키로 한 전국경제인연합회도 최근 자체 예산을 마련하지 못하면서 당초 계획에서 보류시켰다.

 특히 코리안넷은 1차 시스템 개발을 통해 현재 400여개 회원업체에 13만건의 상품을 등록했지만 현재로선 가격정보가 반영되지 않아 사실상 무용지물에 불과하다. 당초 계획으로는 지난해 10월부터 기능향상을 위한 2차 시스템 개발에 들어가 올해 시범사업을 거친 뒤 내년부터 본격 활용할 계획이었지만, 현재로선 이같은 일정이 불투명한 상태다. 가장 큰 원인은 지난 1차에 투입된 23억원의 예산에 이어 기능향상 작업에도 6억여원의 추가비용이 들어가야 하고, 앞으로도 안정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부담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유통정보센터와 전경련은 물론, 조달청이나 B2B 시범사업 업종별 참여기업들도 전자카탈로그 저장소 사업을 검토중이어서 향후 업종간 연계나 통합운영방안도 해결과제로 남아있다.

 유통정보센터 관계자는 “저장소 사업은 상용화하더라도 당장 유료화하기 힘들고, 언제쯤 어느정도의 수입이 가능한지도 가늠하기 어렵다”면서 “계속해서 자체 예산만 쏟아붓는 것 아니냐는 부담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 EAN넷·ECC넷 등 해외 전자카탈로그 저장소의 경우 등록·이용건당 일정 금액을 회비나 수수료 형태로 받고 있지만 상용화까지는 1년 가량의 시범사업을 거쳤고, 현재 수익규모도 운영·관리비를 충당하기는 아직 부족한 상태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전자카탈로그가 전자상거래 기반인프라인 데다, 또한 그 활용도에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는 만큼 이를 주도하는 단체들의 개발중단 움직임을 우려하는 시각이 적지 않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안정화에 들어갈 때까지는 특정기관의 자체 예산뿐 아니라 민관 공동의 부담이 필요하다”면서 “중요한 것은 결코 미룰 수 없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