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서버업계에서는 올해 상반기로 예정돼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64비트 운용체계(OS)인 윈도닷넷 출시를 계기로 인텔의 IA64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서버가 서버시장서 얼마나 두각을 나타낼 수 있을지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서버업계는 지난해 하반기 들어서면서 아이테니엄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IA64서버를 앞다퉈 내놓았으나 당초 예상과는 달리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실제로 인텔코리아를 비롯해 삼성전자·디지털헨지 등 국내 업체들과 한국HP·한국IBM·SGI코리아 등 외국계 업체들이 잇달아 IA64서버를 내놓았으나 지난해 공급실적은 미미했다. 그마나 국내업체들이 연구소와 학교·소프트웨어개발자 등을 대상으로 테스트베드용으로 100여대를 공급한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올해에는 시제품 차원을 넘어선 64비트 프로세서와 OS의 출시가 예정돼 있는 데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등 시장 활성화 요인들이 대기하고 있어 지난해와는 상황이 다를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전망하고 있다. 더구나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팽배하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MS의 명실상부한 64비트 OS인 윈도닷넷의 출시가 예정돼 있고 하반기엔 시제품 수준을 넘어선 인텔의 64비트 프로세서인 매킨리가 출시될 전망이다. 또 지금까지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돼 온 애플리케이션의 문제도 일정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마디로 시장여건이 조성돼 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버업계에서는 긍정론과 시기상조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우선 삼성전자·디지털헨지 등 국산업체들과 인텔코리아는 긍정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는 반면 한국IBM·한국HP 등 외국계 업체들은 IA64서버가 아직 검증이 완료되지 않은 서버라는 점을 내세워 시기상조론을 펼치고 있다.
삼성전자는 하반기 들어서면 IA64서버가 새롭게 조명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아이테니엄서버가 시장 다지기 작업을 어느 정도 해줬고 올해에는 OS와 프로세서 또한 완벽한 의미의 64비트체제를 수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관건은 애플리케이션일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지난해 아이테니엄서버가 출시될 때와 큰 차이는 없으나 연말께는 어느 정도 해결된다는 것을 가정하면 매킨리서버는 교두보 확보 차원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인텔코리아도 지난해 연구소·대학·소프트웨어 개발자 등을 대상으로 100대 정도가 보급된만큼 올해에는 이 부문서 의미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디지털헨지 역시 지난해부터 각종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포팅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적어도 테크니컬컴퓨팅·소프트웨어 개발자·대학(연구소) 등의 틈새시장이 중반 이후 개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IBM·한국HP·컴팩코리아 등 외국계 업체들은 다소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국IBM은 지난해에 비해 전반적으로 시장이 나아지기는 하겠지만 IA64서버의 경우 시스템의 안정성과 확장성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장확대에 한계가 있고 무엇보다도 서버업체들이 매킨리서버 제품을 내놓기는 하겠지만 전력을 기울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HP도 HP본사가 인텔과 가장 긴밀하게 협력해 IA64시장에 뛰어들고는 있지만 애플리케이션 문제가 좀체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어 올해에는 교두보 수준의 시장형성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HP의 경우 PCI버스(bus)나 입출력(IO) 부문의 핵심기술을 갖고 있어 고객의 취향에 따라 유닉스서버든 IA서버든 구성이 즉각적으로 가능해 시장여건만 조성되면 자사가 유리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컴팩코리아 역시 IA64서버가 당장은 큰 매력이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 733㎒·800㎒의 두 제품을 내놓기는 했지만 메모리 속도가 기대만큼 빠르지 않은 데다 애플리케이션 문제도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MS의 64비트 OS인 윈도닷넷이 상반기에 나올 예정이긴 하지만 리눅스 OS를 포팅해 내놓은 제품도 지난해 기대만큼 늘지 않아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와 관련, 업계의 한 관계자는 “IA64서버는 현재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이 함께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나 무엇보다도 애플리케이션의 포팅문제 해결과 서버제품에 대한 안정성·확장성에 대한 인식전환이 동시에 이뤄지는 올해 말이나 내년 초쯤 시장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