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GKMS 보급사업` 혼선

 ‘지식강국’ 구현의 일환으로 정부가 추진중인 ‘GKMS 보급사업’이 세부계획 미흡으로 관련 기관에 혼선을 일으키고 있다.

 행자부는 지식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 및 범정부 차원의 KMS 붐을 조성하기 위해 라스21과 GKMS를 공동개발하고 지난해 중앙 행정기관을 비롯, 전국 시·군·구에 무상 배포할 방침임을 밝혔다. 지난해 9월 312개 기관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시행한 결과 올해에만 82개 기관이 도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직까지 세부 보급계획이나 구축절차 등 후속조치들이 확정되지 않고 있다.

 82개 기관 외에도 상당수 정부기관이 상용 KMS솔루션과 GKMS를 놓고 저울질이 한창인 것을 감안할 때, 정부기관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서라도 후속조치가 시급히 마련되어야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세부 보급계획 미비=GKMS 보급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행자부는 이제까지 GKMS 관련 보급 일정이나 구축절차를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행자부의 지원 인력이나 규모, 지원 내역도 나와있지 않다.

 이에 대해 행자부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시스템 기능을 개선하고, 이달 지식관리센터(KMC)와 상용 KMS솔루션을 연동하는 작업이 마무리되는 만큼 2월부터 본격적인 보급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체계적인 준비가 미흡하다는 비난은 면치 못할 전망이다.

 특히 지난해 9월 GKMS 수요조사에서는 희망의사를 밝히지 않았으나 의사를 번복할 경우 수용해야 할지 여부도 아직 불투명하다. 원래는 올해 도입을 희망한 82개 기관에 한해 보급할 예정이었으나 지식관리 보급률 확대 차원에서 고심하고 있는 것이다.

 ◇기술이전 계획 없어=행자부의 기본 입장은 GKMS를 무상으로 보급하되 설치작업은 각 기관에서 구축하라는 것. 설치 안내서를 제공할 예정인 데다, 설치작업이 간편하기 때문에 굳이 전문가가 필요없다는 것이 행자부의 입장이다. 일부 기관의 경우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할 수도 있으나 어느 수준까지 소스코드를 오픈할 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식관리시스템의 특성상 각 부처별·기관별 업무 환경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또 아무리 쉽다고 하더라도 상황이 열악한 지방행정기관이 자체 인력으로 GKMS를 설치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지식관리시스템 전문회사에 GKMS의 아키텍처를 공개하고 기술 이전이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기술 이전에 소요되는 기간이 최소한 2∼3개월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면, 2월부터 보급에 들어간다고 하더라도 실질적인 구축작업은 늦어도 5월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결론이다.

 ◇지자체 혼선 가중돼=중앙 및 지방행정기관이 GKMS와 관련해 정부의 공식 입장을 받은 것은 지난해 9월이 마지막이다. 행자부가 임시 사이트를 개설하여 GKMS 기능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고 하지만 GKMS의 기능과 성능, 안정성을 평가하기는 실제로는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지자체의 한 관계자는 “상용 KMS 패키지와 GKMS 가운데 하나를 결정해야 하는데, GKMS에 대해서는 무상배포라는 것 외에는 아는 바가 없다”며 “예산을 생각하면 GKMS를 도입해야 하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난감한 상황”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정은아기자 eaj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