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시운영체제(BCP)>KT IDC `우리도 뛴다`

 KT IDC가 BCP사업을 의욕적으로 펼치고 있어 시선을 모으고 있다.

 KT IDC는 각 기업들이 BCP를 기업 생존전략의 일환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고 이를 추진할 별도의 추진체계를 구성했다. 우선 KT내의 프로젝트 리더와 프로젝트 매니저, KT 분야별 담당자 등을 중심으로 한 BCP TFT(KT에서는 BRS TFT로 지칭)를 구성했다. 이 TFT에는 서비스 추진팀과 실무팀이 구성돼 있으며, 고객사의 담당임원이 참여하는 BCP TFT 추진위원회가 구축돼 있다. 물론 여기에는 고객사의 실무추진팀원이 포함된다.

 KT BCP사업의 전위대라 할 만한 지역별 IDC 또한 KT의 자산이다. 현재 혜화·마포·목동·영동·분당 등 수도권에 5개의 센터가 구축돼 있으며 지방에도 대구·청주·대전·전주·원주·광주·부산 등 7개 지역에 IDC를 두고 있다. 이 중 분당센터는 KT의 IDC 중 최대 면적을 자랑한다.

 KT IDC는 수전·배전·분전설비 등 이중화시설을 갖췄으며 비상발전용 2차 자가발전시설, 3차 이동형 발전차 등을 구비했다. 자동화재탐지설비와 하향송풍장치, 청정가스 소화설비 등의 기본적인 설비도 갖췄다. 물론 입출입자 모니터링, 자동추적장치, 지문인식. 파손감지, 체온감지 등 자동검색시스템도 구비돼 있다.

 KT IDC는 이같은 시설과 전문팀을 앞세워 중소 금융기관과 중견기업의 BCP시장을 공략하면 다른 사업자보다 유리한 위치를 점할 것으로 보고 있다. KT가 중소 금융기관도 대상으로 삼은 것은 대형 금융권은 이미 재해복구센터를 구축한 경우가 많은 반면, 중소 금융기관은 아직 검토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더우기 금융감독원의 권고안이 발표돼 있어 각 금융기관이 이를 기반으로 한 재해대책전략 수립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KT IDC의 한 관계자는 “현재 BCP시장은 막대한 시장규모 때문에 다수의 시스템·컨설팅·SI·솔루션업체가 경쟁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며 “그러나 전국적인 네트워크 구성 등 재해복구 밸류체인 구축이 안돼 있어 이를 만족시키는 사업자는 소수에 불과할 것”이라고 KT의 우위를 주장했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