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부터 KT가 대주주 없는 민간기업으로 바뀌게 된다. 공공부문 구조개혁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공기업 민영화가 우리 경제의 미래를 담보하고, KT 민영화가 재계는 물론이고 국가 전체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미친다는 점을 감안하면 바람직한 선택이라고 본다.
최근 KT가 마련한 민영KT의 기업지배구조(안)은 상반기중 매각되는 정부보유주식의 일부를 자사주 형태로 매입해 경영권을 안정화시키는 등 대주주를 용인치 않는 분산주주 형태로 기업지배구조를 끌고 나가는 것이 주요 골자다. 또 대표이사 사장과 이사회가 견제와 균형을 이뤄나가도록 경영구조를 재편하고 이사회의 투명성·공정성·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이미 외국의 선진기업들이 이사회가 중심이 되는 책임경영체제 구축을 통해 외압을 차단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닥을 제대로 잡은 것 같다.
민영화를 위한 정부지분 매각작업도 성공적이다. 지난해 초부터 올 1월까지 KT의 정부지분은 총 59%에서 28.3%로 낮아졌으며 오는 6월 이를 완전매각하면 KT는 정부의 특별관리대상에서 일반기업과 동일하게 상법과 증권거래법을 적용받는 민간기업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KT가 민영화에 대비해 경영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는 것을 실감케 하는 대목은 현장·고객·수익을 올해의 화두로 잡고 있다는 것이다. 현장을 무시하면 고객이 이탈되고 고객이 떨어져 나가면 수익이 감소한다는 것을 되새기기 위해서라니 참으로 엄청난 변화다.
뿐만 아니라 기존 통신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 유무선 토털솔루션을 제공하는 IT기업으로 변신하기 위해 유선전화회사라는 껍질을 벗는다. 통신서비스의 흐름이 음성에서 데이터로 전환되고 있다는 사실도 중시하는 유연한 대응전략이라 아니할 수 없다.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국민생활·편익증진·공공복지 등 공익과 공공성을 강조하던 회사 경영방침의 변경이다. 보편적 서비스를 위한 공익성과 공공성은 그대로 남지만 대다수를 주주이익 극대화로 대체하겠다는 것이다.
회사 정관에 정보통신사업외에 뉴미디어사업 등 부가통신사업,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판매, 단말기 매매 및 임대업, 전기통신기자재의 시험 및 검사, 광고업, 통신판매업, 부동산업, 정보통신 관련사업의 제조 및 유통업 등 사업목적을 구체화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이렇게 되면 SK그룹과 LG그룹 등 통신사업자는 물론이고 삼성그룹 등 다른 정보통신그룹과의 경쟁도 본격화된다.
소유와 경영이 완전분리된 전문경영인의 책임경영과 독립적 이사회를 통한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는 글로벌 전문경영체제로 거듭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시장지배력 강화에 따른 공정경쟁체제 및 공익성 훼손 논란이 그것이다. 그동안 공익성과 공공성을 강조했던 공기업 KT가 주주이익 극대화를 추구할 경우 특정사업자에 대한 가입자 쏠림 현상이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총 3570만명에 이르는 가입자 기반을 갖춘 통신그룹이 탄생하면 공정경쟁의 틀이 붕괴될 것이란 지적과, 통신사업이 주파수와 사업권을 전제로 하는 규제사업으로 민영화가 되더라도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기 어렵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걸림돌이 적지 않지만 민영화된 KT가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해 나갔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