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A가 7개국의 전자무역서비스 및 인증을 담당할 별도 회사를 설립키로 한 것은 1년여 넘게 그려 온 밑그림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공식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PAA 회원사는 각국에서 전자무역서비스를 담당해온 주체들로 이미 통관업무는 상당부분 전자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네트워크화되면 통관서류의 전자적 처리는 언제라도 가능하다.
PAA가 ETS라는 동아시아 전자무역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운영할 새로운 주체를 설립키로 한 것은 각국별로 독자적으로 운영돼온 전자무역서비스 망을 하나로 묶겠다는 약속을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전자무역서비스에 없어서는 안될 인증회사를 공동설립키로 한 것은 통관뿐 아니라 무역업무 전반을 전자적으로 처리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통관뿐 아니라 무역에 필요한 각종 전자서류를 인증해줌으로써 보안문제를 해결, 실제 무역업체의 불안감을 해소하겠다는 목적이다.
PAA 회원사는 이번 회의에서 ETS가 부문별 워킹그룹을 구성·운영해 XML 기반의 국제간 전자문서 교환서비스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하도록 한다는 구체적인 합의에도 도달했다.
특히 이번 회의는 PAA망 구축과 관련해 KTNET의 주도적인 역할이 눈에 띄게 부상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지닌다.
PAA는 KTNET이 지난해 개발해 제안한 ebXML 기반의 ‘GXML 허브 1.0버전’을 전자무역의 구조로 정식채택했다. 더욱이 앞으로 국제간 전자문서교환의 핵이 되는 등록저장소도 KTNET이 주도할 수 있게 됐다.
또한 현재 KTNET과 일본 TEDI 사이에 진행 중인 한일전자무역네트워크 구축 프로젝트도 PAA 협력사업에 공식포함시키기로 했다.
이에 따라 향후 아시아를 연결하는 국제간 전자무역에서 우리나라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PAA의 이 같은 당찬 계획은 전자무역을 실현하는 데까지 상당한 산고를 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자무역에 필요한 구조에는 합의했지만 아직 전자문서화가 상업송장(인보이스)·구매(PO)·선적정보통보(ASN)·포장명세 등 4가지에만 그치고 있어 수많은 문서의 전자화가 가장 큰 과제다.
또한 업종별 업무나 전자문서 양식 표준화, 전자카탈로그 구축과 이의 표준화 문제도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
특히 각국별로 서로 다른 무역제도나 환경을 전자무역에 걸맞게 개선하는 것도 지난한 숙제로 남아 있다.
더욱이 PAA 회원사간 표준화를 주도하려는 치열한 경쟁과 알력도 예상되고 있으며, 국제표준화 작업과의 연계성을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지에 대한 입장도 다양하게 표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PAA망은 국제간 전자상거래를 각국이 공동실현하기 위해 시도하는 최초의 시도라는 점, 미주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전자상거래 환경에 대응한 아시아국가의 연합이라는 점에서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유성호기자 shyu@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