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인터넷주소(IP)체계로 ‘인터넷프로토콜버전6(IPv6)’가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현행 IPv4 기반의 IP부족문제가 예상보다 빨리 표면화될 것으로 보여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7일 관련 기관 및 업계에 따르면 최근들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지역의 IPv4 주소 할당 수가 월평균 200만개 이상을 돌파하는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오는 9월께부터 각국간에 IP고갈문제가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한국전산원의 최근 연구조사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인터넷 주소 할당을 주관하는 APNIC가 상위기관인 IANA로부터 배정받은 1억171만여개의 IPv4 주소 중 61.1%인 6215만개가 이미 소진됐다. 남은 주소는 38.9%인 3955만개. 따라서 오는 9월께면 IP소진율이 적정수준을 넘어 80%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올들어 중국 및 동남아 등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인터 넷붐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데다 세계적으로 경기회복조짐과 함께 정보가전 및 산업용 기기 분야에서의 신규 IP 수요가 급팽창, 올 하반기부터는 IPv4 주소 고갈문제가 국제 인터넷기구간 큰 이슈로 제기될 전망이다.
이는 당초 세계 주요 기관과 대형기업들이 예측했던 기존 IPv4 기반의 주소부족 예상시기를 2년 가량 앞당긴 것이란 점에서 특히 주목된다. 실제로 인터넷 주소체계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영국의 브리티시텔레콤(BT)은 기존 IPv4 기반에서의 주소부족시기를 오는 2004∼2005년으로 예상했으며 일본 히타치도 2005∼2006년께가 돼야 IP고갈문제가 불거져 나올 것으로 진단했다.
우리나라 전문가들도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적 많은 IPv4 주소를 확보해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아시아 전역의 신규 IP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결코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며 “무한대의 IP 생성이 가능한 차세대 주소체계인 ‘IPv6’의 조기도입을 서둘러야 할 때”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편 기존 주소부족문제 해결을 위한 임시방편으로는 공공주소체계(퍼블릭 어드레스)를 사용하되 한정된 어드레스를 다수의 호스트가 공유하는, 이른바 ‘DHCP(Dynamic IP allocation with PPP)’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IP 수의 절대부족이란 IPv4의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배기자 jb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