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나노팹 유치를 위해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각 기관이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세력 과시를 꾀하고 있다.
나노팹 유치를 공개적으로 선언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한국과학기술원(KAIST)·포항공대 등이 본격적으로 유치신청서 작성에 착수한 가운데 이와 함께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참여 대상을 늘리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명도가 있는 대학과 출연연·대기업 등을 끌어들이기 위한 세 기관의 ‘구애작전’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처럼 컨소시엄 구성에 열을 올리는 것은 선정 평가 시 가산점이 주어질 것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또 정부의 지원이 중단되는 9년 후에는 자생 기반을 마련해야 하는 것도 한 이유가 되고 있다.
KIST는 최근 수도권지역 기업 및 대학 80여곳에 나노팹 컨소시엄 참여를 제안하는 참여확인서를 발송했다. KIST는 이달 말 발송확인서가 회신되는 대로 협의에 들어가기로 했으며, 참여 희망기관은 최대한 컨소시엄에 끌어들여 세를 불릴 예정이다.
KAIST도 대덕단지에 있는 정부 출연연을 중심으로 컨소시엄 구성에 나서고 있다. KAIST는 대전 지역 벤처기업의 모임인 대덕밸리벤처연합회와 회원사들의 컨소시엄 동참을 촉구하는 등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어 많은 업체를 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KAIST는 나노팹이 컨소시엄 참여 대상을 대전 지역으로 한정하는 데 문제가 있다고 보고 전국적으로 대상기업을 모집할 계획이다.
포항공대도 이미 컨소시엄 참여를 선언한 지역 31개 산·학·연 기관 외에 컨소시엄 대상폭을 늘려 100개 정도의 기관을 끌어들일 예정이다. 포항공대도 포항이라는 지역적 기반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인 기반이 필요하다고 보고 전국의 유명대학 및 기업과 본격적인 협의를 시작키로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런 지역을 기반으로 한 컨소시엄 구성이 자칫 유치경쟁을 과열로 몰고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과기부 한 관계자는 “지역별 컨소시엄을 구성할 경우 과열돼 선정 시비 등 후유증이 우려된다”며 “지역별 컨소시엄보다는 경쟁관계에 있는 기관들이 그랜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안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당초 다음달 8일까지 나노팹 유치신청서를 접수키로 한 과학기술부는 팹시설 개념설계 및 방대한 사업계획서 작성 소요기간을 반영, 신청서 제출기간을 3주 연장해 29일까지 접수키로 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