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인 신임 방송위원장 체제가 출범했다.
방송계 안팎에서는 이번 강 신임 위원장의 선출이 ‘예견된 수순이었다’는 반응이다.
그동안 김 위원장의 사퇴 이후 후임 방송위원장으로 거론된 인사가 줄잡아 10여명에 이르렀으나 이들이 모두 위원장 자리를 고사함에 따라 내부 인사인 강 부위원장의 후임설이 유력시됐다.
방송위로서도 중대한 현안이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외부 적임자가 없다는 이유로 장기간 위원장 자리를 비워둘 수는 없기 때문이다.
강 위원장은 89년 방송제도연구위원회·98년 방송개혁위원회 등 현 방송정책의 굵직굵직한 뼈대를 만드는데 직접 참여했으며 방송위 내부 사정을 잘 알고 있다는 점 등이 기대감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강 위원장이 1년 남짓한 잔여 임기 동안 난마처럼 얽힌 방송계 현안들을 순조롭게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떠안아야 할 부담감이 큰 것도 사실이다.
현재 국회에는 방송위가 지난해 발표했던 채널 정책을 전면 수정하는 방송법 개정안이 상임위에 계류중이며 지상파·위성방송·지역방송 등 사업자간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작업도 쉽지만은 않다.
이같은 이유로 일각에서는 학계 출신보다는 정치인이나 법조인이 적합하다는 주장도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또 방송위 노조측에서는 “현재의 잘못된 방송 정책을 만드는데 일정 부분 책임이 있는 강 부위원장이 위원장으로 선출된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강 신임 위원장이 이러한 안팎의 난재를 극복하고 무너진 방송위의 위상을 제자리로 돌려 놓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는 시점이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