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소프트웨어 대가기준 산정방식을 기존 스텝수(LoC:Line of Code)방식에서 기능점수(FP:Function Point)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개선작업에 착수했다.
지난달 ‘소프트웨어사업 대가기준 개선체계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한 정통부는 4일 오는 4월로 예정된 사업대가 기준 개정안 고시를 앞두고 실무차원의 검증과 함께 관련 매뉴얼 작성에 나섰다. 또 원활한 대가기준 적용을 위해 공공기관 및 민간업체를 교육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그동안 프로그램 라인수만을 계산해 사업비용을 주먹구구식으로 산정하던 기존의 스텝수 방식은 소프트웨어 분야의 빠른 기술 발전 속도를 반영하지 못할 뿐 아니라 사업자 기술력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어렵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정통부는 지난해 발표한 ‘SI산업활성화방안’을 통해 기존의 스텝수 방식과 새로운 기능점수 방식을 혼용해 적용하는 시범 기간을 거친 후 내년부터는 모든 대가기준 산정방식을 기능점수방식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을 확정한 바 있다.
이와관련 정통부는 한국전산원에 기능점수 방식 대가기준에 대한 최종 검증을 의뢰하여 최근 3∼4년간 진행된 총 70여건의 주요 정보화 프로젝트 관련 데이터를 취합함으로써 국내 상황에 맞는 대가기준 체계를 확립해 나갈 계획이다. 이는 새로운 사업 대가기준 연구에 적용된 정보화 프로젝트 사례가 40여건에 불과해 신뢰성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는 SI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 기능 점수 방식의 조기 정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통부는 또 새 기준에 관한 교육을 향후 구성될 한국기능점수사용자그룹(KFPUG)과 한국전산원에 위임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한편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사업대가 교육을 수행할 한국전산원은, 우선 기존 연구팀의 인력을 활용해 교육을 실시한 후 사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전문인력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또 기능점수 방식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향후 결성될 순수 민간단체인 KFPUG는 현재 20여명의 초기 인원으로 국제기능점수사용자그룹(IFPUG)의 한국지부로 승인받기 위한 요건들을 확보하고 있으며 향후 민간업체를 상대로 한 사업대가 교육을 맡을 예정이다.
정통부 관계자는 “국가에서 일률적으로 대가기준을 정하는 것은 자칫 산업에 역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민간단체들이 등장해 다양한 대가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전체 SI산업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진영기자 jych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