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이오 특허와 관련된 라이선싱 및 기술료 문제에 대한 국내 바이오 관련 기업의 적극적인 검토와 대비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10일 특허청에 따르면 국내 생명공학 관련 국내 출원 건수는 지난 98년 1630건, 99년 1824건, 2000년 2580건 등에 이어 지난해 2801건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내국인의 출원 건수도 98년 857건, 99년 998건, 2000년 1543건, 2001년 1853건으로 외국인의 출원 건수를 앞지르고 있다.
아직 걸음마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내국인의 유전자 특허출원은 99년 151건으로 전체 유전자 출원 건수의 38%에 불과했으나 2000년 248건 38%, 2001년 402건 43%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내국인의 바이오 관련 특허출원이 늘어나고 있는 것과 달리 국내 기업들의 국제적인 특허풀제도(Patent Pool System)의 도입이나 컨소시엄 구성 등에 대한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허풀제도는 한 제품에 관련된 특허권자들이 자신의 특허를 하나의 풀로 묶어 제품 생산에서 파생되는 이익을 공동분배하는 형태를 말한다.
특허청은 지난달 베를린에서 열린 OECD 전문가 회의에서 노바티스 및 젠자임 등 세계적인 바이오의약기업이 향후 라이선싱 및 기술료 문제가 바이오산업 발전의 핵심문제라고 거론했다고 전했다.
이는 그동안 세계적인 바이오 관련 의약기업들이 유전자 특허 문제에 대해 논하던 데서 탈피해 특허에 따른 기술료 전쟁시대를 예고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덧붙였다.
따라서 특허청은 세계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특허풀제도 도입과 컨소시엄 구성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IT업종의 경우 이미 엠펙사를 중심으로 동영상 압축기술 분야에 특허풀제도를 도입해 300여개의 라이선스를 취합, 이로 인한 이익을 특허풀제도에 가입한 업체에 배분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특허청 유전공학과 안미정 심사관은 “바이오 특허 증가시대에서 이제는 기술료 전쟁시대를 예고하고 있다”며 “이에 따른 국내 바이오업체들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