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기관이 하나둘씩 증가하면서 공인인증 업계에 채산성 확보가 최대의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인인증서 수요는 연간 200만장에도 못미치는 반면 공인인증기관은 5개로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수익성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이들 업체는 법인고객으로부터는 10만원의 인증서 수수료를 받고 있지만 인증서 최대 수요처인 개인들로부터는 수수료를 받지 못하는 입장이다.
더욱이 조만간 한국무역정보통신이 공인인증기관으로 인정되면 공인인증기관이 모두 6개로 늘어나게 돼 인증서 발급 유치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업체마다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가장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한국정보인증과 한국전자인증. 나머지 업체들은 본업이 공인인증 사업이 아니지만 이 두 업체는 인증사업에만 매달리고 있어 인증서 발급실적에 회사의 사활을 걸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정보인증과 한국전자인증은 사업영역을 확대하거나 서비스를 차별화하는데 적극 나서고 있다.
한국정보인증의 경우 PKI솔루션과 XML·네트워크 백업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강영철 한국정보인증 사장은 “전자인증은 전자상거래와 더불어 발전하는 것인 만큼 전자상거래 환경이 성숙되기 전까지는 인증업무만으로는 채산성을 맞추기 어렵다”며 사업영역을 확대해 토털 정보보호 업체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공인인증 기관으로 선정된 한국전자인증은 개인용·기업용 인증서 외에 웹서버·디바이스 인증 등으로 업무영역을 차별화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와관련, 인증업체 관계자들은 업계의 자구노력과는 별도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증업체의 한 관계자는 “지금처럼 각 영역별로 나눠먹기식 구도가 정착되고 개인에 대해서는 무료서비스가 지속되는 한 인증업체의 발전은 기대하기 어렵다”며 “상호연동도 업체들이 풀어나가야 할 중요한 문제이지만 장기적으로 이 산업을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에 대한 정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영하기자 yh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