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게임업체들의 제살깎기식 수출경쟁이 도를 넘고 있다. 일단 해외에 진출하고 보자는 경쟁심리가 작용하면서 ‘덤핑’이 스스럼없이 자행되고 있다.
최근 중국을 방문한 한 온라인 게임업체 사장은 “중국업체들이 노골적으로 덤핑수출을 요구해와 자존심이 상할 대로 상했다”고 털어놓았다. 중국 게임업체 관계자들이 단 한푼의 계약금없이 수출계약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계약금없이 수출할 수 없다고 난색을 표명하자, 중국업체들은 “싫으면 하지 말아라. 당신들이 아니라도 게임 수출을 희망하는 한국업체는 많다”고 잘라 말했다고 한다.
사실 온라인 게임 수출과 관련한 국내업체간 출혈경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문제는 최근들어 이런 제살깎기식 경쟁이 한계를 넘어서고 있는다는 것이다. 수출만 하고 보자는 식으로 헐값으로 수출하고 있다. 계약금을 받지 않아도 계약만 체결하고 보자는 업체들이 줄을 서면서 해외업체의 ‘콧대’를 높여줄 대로 높여주고 있다.
이처럼 출혈경쟁이 야기되는 까닭은 일차적으로 국내시장이 포화상태에 달했기 때문이다.
온라인 게임이 고부가가치의 콘텐츠 산업으로 각광받으면서 지난해 새로 쏟아진 온라인 게임은 무려 140여종에 달한다. 지난해 국내시장 규모가 2000억원밖에 되지 않은 것을 감안하면 너무나도 많은 게임업체가 난립한 셈이다. 이렇다보니 내수시장에서 재미를 보지 못한 업체들이 해외진출을 모색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문제는 해외에 진출하면서 우리 업체끼리 과당경쟁을 벌이는 것이다. 이러한 과당경쟁의 폐해가 부메랑이 되어 고스란히 우리 업계로 되돌아 오고 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국익을 위해서라도 수출에 관한한 업계가 연대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다행히 최근 정통부의 주선으로 온라인 게임업체들이 ‘온라인게임산업협의회(가칭)’라는 모임을 만들어 이런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태세여서 고무적이다. 하지만 이 모임의 주체를 놓고 정통부와 문화부가 영역다툼을 벌이고 있어 협회 출범에 진통이 뒤따를 모양이다. 더이상 부처간 이기적인 일로 에너지를 낭비할 필요는 없다. 지금은 경쟁보다 연대의 움직임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따라서 업체들의 협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문화산업부·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