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1일은 제35회 과학기술의 날이다. 우리나라는 40여년의 일천한 과학기술역사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과학기술 중시정책을 추진해 단기간에 국가과학기술체제의 기본틀을 형성했다.
60∼70년대에는 과학기술처가 발족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정부출연연이 설립, 육성됐고 과학기술육성 법령정비, 기술개발지원제도 정비, 이공계 인력양성 등 하부구조 구축이 착수됐다. 80년대에는 기업부설연구소가 본격적으로 육성되고 특정연구개발사업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착수됐으며 90년대 들어서는 대학연구조직의 본격적인 육성과 과학기술정책의 범부처적인 확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확대, 국제화의 진전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육성정책에 힘입어 우리나라의 연구개발투자, 인력 등 양적인 측면의 잠재력이 크게 증가했다.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는 67년에는 48억원으로 GDP대비 0.38%에 불과했으나 2001년에는 13조8485억원으로 증가, GDP대비 2.68%에 달하고 있다.
또 연구원수도 68년 5042명에 불과했던 것이 2000년에는 15만9900명으로 세계 9위 수준에 이르렀다.
이러한 꾸준한 과학기술투자에 힘입어 한국의 전반적인 과학기술 수준 및 연구개발성과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특히 과학자의 질적수준을 말해주는 과학기술논문색인(SCI) 논문수는 99년 1만1066편에서 2000년 1만2232편으로 전년대비 10.5% 증가, 세계 16위를 기록했으며 상위 30위권 국가 중 최고를 기록하는 등 국가 과학기술수준이 날로 높아지
는 상태다.
90년대 이후에는 국가연구개발사업 확대에 따라 D램, TFT LCD, CDMA, AIDS 진단시약 개발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첨단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국제경쟁력을 갖춘 기술을 다수 확보하게 됐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과학기술 시스템과 환경은 상대적으로 취약해 미래 신기술 개척을 위한 과학기술 잠재력이 미진한 편이다.
2001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종합 과학기술경쟁력은 세계 21위로 투자(8위), 인력(9위), 내국인 특허등록(3위) 등 투입과 산출 측면에서는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나 젊은이의 과학관심도(34위), 의무교육에서 과학기술교육의 적절성(33위), 지적재산권 보호정도(32위), 법적환경이 기술개발을 제약하는 정도(26위) 등 과학기술 환경 측면에서는 하위권을 맴돌고 있어 이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된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