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교육 활성화 방안

 사이버교육협의회가 18일 발표한 사이버교육산업 활성화 방안은 크게 4가지로 요약된다.

 협의회가 전문 인력양성과 기술개발, 중소기업 지원, 콘텐츠 지원사업 등 분야별로 제시한 내용은 지난 2∼3년간 급성장한 사이버교육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한 첫번째 사례라는 점과 함께 향후 나아갈 방향을 분명히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특히 지난해 10월 업계를 대표하는 정식기구로 출범한 사이버교육협의회가 최근까지 대표적인 사이버교육 전문업체 50개사와 대학, 대기업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문인력 부족현황 조사는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하던 업계의 실상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다. 즉 올해만 2530명의 사이버교육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또 이같은 현상은 갈수록 심해져 2003년 3289명, 2004년 6241명, 2005년에는 9362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학 교육공학과 및 대학원을 비롯해 이화여대와 숙명여대가 운영하는 비학위 전문과정 이수자, IT 전문과정 이수자 중 사이버교육 관련분야로 진출하는 전문인력 등이 크게 부족해 자칫 사이버교육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을 정도다.

 이에 따라 협의회는 우선 산업자원부에 제출할 사이버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기존 대학의 교육학과와 교육공학과에 인력양성을 위한 법·제도 및 자금지원을 강력하게 요구할 방침이다.

 또 기존 대학은 물론 사이버대학에 사이버교육 전문대학원 설립과 사이버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지원을 요구하는 한편 업계 차원에서 각 대학과의 제휴를 통해 산·학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실습 위주의 인턴십제도 도입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

 기술개발과 관련, 협의회는 우선 기존 콘텐츠의 재활용 및 공유가 가능한 확장성표기언어(XML) 기반의 학습콘텐츠관리시스템(LCMS: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개발을 최우선과제로 꼽았다. 이는 AICC와 SCORM 등 미국이 주도하는 사이버교육 기술표준안이 XML을 기반기술로 채택하고 있고 기존의 다양한 저작도구로 제작된 콘텐츠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LCMS 개발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협의회는 미국 주도의 표준안이 세계적인 표준모델이 아닌 만큼 다른 경쟁 국가에 비해 앞선 기술력을 토대로 국내 실정에 적합한 표준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표준화와 관련된 국내외 활동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협의회는 사이버교육 전문업체 대부분이 중소규모인 점을 감안해 막대한 투자를 필요로 하는 LCMS 개발을 정부가 주도하는 정책과제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이버교육 저변확대를 위한 중소기업 지원과 관련, 협의회가 마련한 활성화 방안은 애플리케이션임대서비스(ASP)방식이다. 이는 중소기업이 사이버교육 실시를 위한 토털시스템 구축이 비용적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협의회는 전문업체들이 앞장서 중소기업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영역별·업종별 콘텐츠 개발과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특화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정부가 사이버교육을 실시하려는 중소기업을 시범적으로 우선 지원해 사이버교육에 대한 긍정적이고 조직적인 인식확산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협의회는 사이버교육산업의 핵심영역으로 떠오른 콘텐츠 사업 확대를 위해 정부 주도의 콘텐츠 개발사업이 실시돼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이를 위해 협의회는 재외국민은 물론이고 사회적 소외계층인 실업자, 장애인을 위한 콘텐츠와 교통·소방·의료 등 사회적 재교육을 위한 콘텐츠, 국가가 전략적으로 추진중인 IT·BT·CT·NT·ST·ET 등 6T분야 콘텐츠 개발을 위해 산자부를 중심으로 관련부처의 관심과 지원을 촉구할 예정이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