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나노종합팹센터 구축 방침에 따라 산·학·연의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부가 나노팹센터 설치를 위한 공모를 실시한 결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비롯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포항공대·세종대·충북대·성균관대 등 6개 기관이 신청서를 제출, 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나노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나노종합팹센터 유치를 위한 6개 기관의 전략을 3회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
◇성대·부품연·서울대·한양대 컨소시엄
성균관대 등 4개 기관 컨소시엄이 강점으로 내세우는 것은 접근 용이성이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70% 이상)의 나노 관련 연구자가 몰려 있는 수도권과 인접한 교통 요지인 경기도 수원 영통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타유치기관과는 달리 유치기관의 울타리를 벗어난 제3지역에 위치함으로써 누구나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방성이 돋보인다. 또 여러 기관이 공동유치함으로써 나노팹이 어느 한 기관의 전유물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경기도의 전폭적인 재정 지원으로 원스톱서비스 및 안정적인 자립화가 확실하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경기도는 나노기술과 기간산업을 접목시키려는 비전을 갖고 1만평의 부지와 1000억원의 건설비 및 운영비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이로 인해 과기부가 요구하고 있는 1500평보다 시설 확장이 2배나 보장된 3000평의 나노종합팹센터 운영이 가능할 전망이다.
또 국내외 전문가들을 위한 충분한 연구·숙식공간과 벤처입주 시설, 국제 콘퍼런스 시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수용하는 2만1000평의 대규모 나노타운을 건설함으로써 연구에서 산업화, 국제교류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는 원스톱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성대 컨소시엄은 너무 두드러지는 기관들이 같은 배를 탔다는 점이 강점이자 단점이 되고 있다.
유치신청을 한 타기관 관계자는 “성대 컨소시엄은 위치나 운영능력 등에서 타기관보다 우월하지만 컨소시엄 주체가 불분명하고 구성원들이 각자 목소리를 낼 경우 불협화음이 생겨 나노팹센터 운영이 부실해질 우려가 있다”고 평했다.
또 나노팹이 수도권에 설치되면 우수한 나노 관련 인재들이 수도권에 몰림으로써 타지역이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길을 막게 될 것이란 지적도 있다.
◇세종대학교
‘내부보다는 외부에 더 친절한 나노종합팹센터.’
세종대학교는 나노종합팹센터를 유치하면 연구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기관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할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기존 정부 출연연구소나 기업이 자체 기술 보호를 위해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성격을 갖고 있지만 세종대는 이번 나노종합팹을 개방적이고 공정한 서비스로 운영해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삼성SDI에서 실리콘 태양전지 팹라인을 구축해 운영하던 이수홍 교수를 사업책임자로 선임해 나노팹라인 구축 경험과 운영의 묘를 살리고, 재단으로부터 센터장의 독립성을 강화시킬 예정이다.
또 세종대는 전국의 모든 이용자가 가장 편리하게 나노팹을 이용할 수 있는 위치가 서울이고 그중에서도 강동에 위치한 세종대가 지리적 요충지라고 강조한다. 세종대를 중심으로 건국대·한양대·고려대·서울시립대·경희대·광운대·동국대 등이 근접해 있으며 KAIST와 홍능밸리·광진밸리·테헤란밸리로 이어져 산학협력이 쉽다는 것이다.
100% 민간자본을 투자해 나노종합팹을 설립키로 한 세종대는 나노팹 건립에 총 958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 학교는 지리적 위치, 전용공간, 전문인력, 독립적 운영, 실질적인 민간자금, 장기적 발전 비전 등 모든 면에서 세종대가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세종대는 낮은 지명도와 나노기술과 관련된 연구성과가 빈약하다는 것이 취약점으로 지적된다. 또 서울의 중심에 위치한 지리적 요건이 나노과학기술자들의 서울 집중화를 부추겨 타지역과의 균형적 발전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