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인터넷 핵심인 IPv6 주도권을 잡기 위해 우리나라 산·학·연·관이 똘똘 뭉쳤다. 상반기 차세대인터넷 정책을 수행할 정책수행기구(가칭 IPv6 태스크포스) 출범을 계기로 우리나라가 IPv6분야에서도 IT강국 실현을 위한 힘찬 발걸음을 내디딘 것이다.
정책수행기구 참여기관 및 기업을 보면 정보통신부, 한국전산원,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KT, LG텔레콤, 삼성전자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IT 및 인터넷 관련기관, 연구소, 통신사업자, 정보기기업체를 망라한다. IPv6 태스크포스는 명실상부한 차세대인터넷 정책을 수행할 기구로 손색이 없다.
◇설립배경=우리나라는 그동안 인터넷 선진국임을 자처해왔다. 초고속인터넷 가입자수·이용률 등에서 세계 1위를 자처해왔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IPv6를 중심으로 한 차세대인터넷분야에서 일본에 추월당했으며 강력한 정부지원을 바탕으로 한 유럽으로부터 바짝 추격당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IPv6연구를 일찌감치 추진해왔으나 상용화 활동면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탓이다. 특히 한국전산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으로 IPv6 과제수행이 분산된데다 기간통신사업자, 이동통신서비스사업자, 통신장비업체, 애플리케이션업체 등 사업자별로 독자 상용화 행보 이후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상용기반 마련이 미진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부는 물론 산·학·연구기관은 각 당사자가 공동참여하는 강력한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 정책수행기구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어떤 사업 전개하나=우선 한국전산원, KT, 하나로통신, 데이콤 등 기간통신사업자별로 독자 구축해온 IPv6망을 연동해 전국네트워크로 발전시킬 것으로 보인다. 또 분야별 표준화작업을 주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 및 네트워크장비업체에 각각 프로그램 및 네트워크장비 상용제품 개발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여기에 이동통신서비스사업자의 서비스 개발을 독려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사업분야별로 독자 추진해온 IPv6사업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효율적 추진을 위해 업무재조정 및 통합을 유도하는 업무도 맡게 된다.
IPv6 태스크포스의 본격 활동을 계기로 우리나라는 일본과 함께 세계 IPv6 주도권분야에서 양강체제를 이룰 기반이 조성된다. 우리나라는 이로써 IPv6 표준화 주도는 물론 향후 파생될 차세대인터넷 네트워크장비, 애플리케이션시장에서 막대한 부가창출이 기대된다.
◇해외사례=일본은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서있다. 일본은 이미 지난해 10월 16일 정부주도로 게이오대학 준 무라이 교수를 의장으로 한 차세대인터넷 정책수행기관 ‘IPv6프로모션협의체’를 발족시켰다. ‘IPv6프로모션협의체’는 현재 201개 정부 및 연구기관, 민간기업이 참여하고 연 80억엔(8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한 거대기구로 성장하면서 일본을 차세대인터넷 최강국으로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했다. 또 NTT도코모, NEC, KDDI, 후지쯔, 일본IBM, 히타치, 미쓰비시, 캐논, 도시바, 소니 등 내로하라는 IT기업들이 참여한 명실상부한 일본 인터넷정책 수행기구이자 협의체다.
‘IPv6프로모션협의체’ 주요 업무는 보안기술 및 애플리케이션 기술개발, 전문인력양성, 자금지원, 표준화 등 IPv6정책 수립부문은 물론 수행기능을 포함하며 전문전시회 및 시연회 개최 등 IPv6 저변확대 사업까지도 추진하고 있다. 또 관련업계와 공동과제 수행은 물론 감독기능까지 맡고 있다.
유럽은 우리나라 IPv6포럼코리아 형태의 포럼기구와 유럽연합(EU)이 공동으로 참여한 ‘유럽태스크포스’를 구성해 활동중이다. 하지만 인터넷기반이 취약한 유럽은 IPv6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홍보 및 캠페인을 통한 IPv6인지도 향상, 정책개발기획 등 구체적인 사업추진보다는 저변확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미국은 기존 인터넷망 IPv4를 통해 거대한 부를 창출하고 있는 만큼 IPv6에 소극적이다. 하지만 시장상황이 급반전할 경우 미국도 대대적인 사업구조전환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신영복기자 yb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