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상저장장치(DVR)는 아날로그 영상감시장비인 CCTV를 대체하는 디지털 방식의 영상감시장비다. CCTV에 비해 동영상 품질이 우수하고 장시간 녹화가 가능하며 여러 번 재생해도 동영상 품질이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전송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네트워크 도입이 일반화되고 있는 공공기관이나 기업에서 DVR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세계 CCTV 시장은 연간 3조5000만원 규모이며 이를 DVR가 빠르게 대체해가고 있다.
◇성장 일로의 DVR 시장=DVR 시장의 확대는 CCTV의 대체수요로 시작됐지만 무선인터넷 활성화와 더불어 일반 가정으로 수요가 확대될 경우 DVR는 CCTV보다 상당히 큰 시장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시장조사기관인 JP프리맨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1년 세계 CCTV 시장 규모는 약 3조5000억원이며 오는 2003년까지 연평균 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중 DVR가 2005년 이후에 CCTV 시장의 약 50%를 대체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다른 시장조사기관인 프로스트설리반은 DVR 시장이 2000년부터 연평균 120.2%씩 성장해 2003년 이후에는 16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지금까지 DVR는 금융권이나 유통업 등 지역마다 흩어져 있는 프랜차이즈 시장을 주로 공략해 왔다. 특히 강력한 네트워크 기능을 갖추고 있는 국내 DVR 업체들은 기술적 우위를 앞세워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 시장에 앞으로는 사이버아파트와 홈시큐리티 부문이 신규 시장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사이버아파트의 경우 초고속인터넷 사용자가 늘면서 주차장·현관·놀이터 등 감시가 필요한 곳에 DVR를 설치하려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국내시장만 감안해도 한해 평균 38만 가구의 신축 아파트에 대해 100세대당 1대의 16채널 DVR를 설치한다고 했을 때 매년 70억원 이상의 수요가 예상된다.
홈시큐리티는 아직 초기 단계지만 원격감시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가 무산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구현되는 조건이 형성되면 상당한 폭발력을 발휘할 전망이다. 만일 이러한 시스템이 갖춰지면 사용자는 외부에서 이동전화 단말기나 PDA를 통해 집안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된다.
◇한국은 DVR 종주국 =지난 99년부터 본격적으로 제품을 출시해온 국내 DVR 업체들은 해외 유명 보안전시회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DVR 업체들의 수출실적도 2000년 170.4%, 2001년 233.1%로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9·11 테러 이후 보안장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미국 정부가 보안장비 분야 예산을 확대하는 등 시장 상황은 매우 긍정적이다. 펠코(PELCO)·센서매틱(Sensormatic) 등 외국 유명 보안업체들도 국내 DVR 업체로부터 제품을 공급받아 판매하고 있다.
현재 국내 DVR 업체들의 기술력은 매우 높은 수준이다. 중저가 제품의 경우 후발 주자인 대만과 중국 업체들의 추격이 거세지만 고급형 제품은 1년 이상 기술 격차를 두고 있다고 업계에서는 평가한다.
DVR의 핵심기술인 안정성과 압축, 그리고 동영상 재생 품질 면에서는 국내업체의 기술력이 세계 최고로 평가받고 있다.
DVR는 실시간 재생에서 녹화, 백업 데이터 전송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에 대한 부하를 주지 않으며, 수행되기 위해서는 영상 데이터를 작게 압축하고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동시키는 실시간 운용체계가 필요하다. 특히 압축은 압축 후의 동영상 품질이 떨어지지 않아야 하는 조건 때문에 매우 어려운 기술이다. 국내 DVR 업체들은 16개의 카메라에서 들어오는 초당 30프레임의 동영상을 프레임당 2∼3 로 압축하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국내 DVR 업체의 과제=국내 DVR 업체들은 후발 국가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한 기술개발과 함께 원가절감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12개 DVR 업체들로 구성된 DVR 협의회는 한국전자산업진흥회와 협력해 DVR 부품의 공동개발 및 HS코드 개정 노력을 펼치고 있다.
DVR 부품개발은 수입에 의존하던 디코더 칩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디코더 칩은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파일로 바꾸는 DVR의 핵심 부품으로 DVR에 연결되는 카메라 대수 만큼 필요하다. 16채널 DVR에는 16개의 동영상 처리 반도체가 필요하다. 현재 DVR협의회는 국내 주문형 반도체 업체인 펜타마이크로와 공동 개발 중이다.
DVR협의회가 추진하는 또 다른 원가절감 방안은 HS코드 변경이다. 변경 내용은 현재 ‘디지털자동자료처리기계(8471.50-1000)’로 구분돼 있는 DVR의 HS코드를 ‘영상기록용 또는 재생용기기(8521.90-9000)’로 전환하는 것이다.
관세청이 규정한 디지털자료처리기계의 수입관세 환급 비율은 만원당 80원인데 비해 영상기록용 또는 재생용기기는 만원당 120원이다. 따라서 DVR 업계에서 추진하는 국제상품분류체계 개정이 이뤄질 경우 수입관세 환급금액이 50% 늘어나 수익개선과 동시에 원가절감 효과를 통한 수출 경쟁력 제고가 이뤄질 전망이다.
★DVR의 핵심기술
DVR의 성능은 시스템 안정성과 동영상 재생 품질, 녹화속도, 압축률, 해상도, 네트워크 기능 등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시스템 안정성=보안장비의 생명은 안정성이다. 가동중에 시스템이 다운된다거나 오류가 발생하면 보안장비로서의 가치가 없다. PC 기반의 DVR는 운용체계인 윈도 자체의 결함으로 안정성 문제가 제기돼 최근에는 DVR의 기능만을 특화시킨 임베디드 OS쪽으로 변화되고 있다. 만에 하나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시스템 정지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재부팅해 문제를 해결하는 워치도그(Watch-Dog) 기능을 갖춘 DVR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재생 품질=모니터에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은 순차표시와 동영상표시가 있다. 순차표시는 녹화된 화면을 순서대로 재생하는 방법으로 움직임이 끊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이에 비해 동영상표시는 오버레이 기능을 갖춘 화면 분할기 보드를 내장해 TV처럼 매끄러운 재생이 가능하다. 현재 초당 30프레임 정도를 재생하고 있는 DVR는 TV 이상의 동영상 품질을 자랑한다.
녹화속도=녹화속도가 늦으면 그만큼 동영상 품질이 떨어진다. 특히 하나의 카메라가 아닌 최대 16개의 카메라에서 들어오는 동영상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빠른 동영상 녹화가 필요하다. 동영상 녹화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면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떨어지고 하드웨어 칩을 사용하면 가격 상승 요인이 되지만 소프트웨어 방식에 비해 좋은 품질을 낼 수 있다. 녹화속도는 재생속도와 마찬가지로 초당 30프레임을 낼 수 있는 것이 최근 기준이다.
압축률=압축률은 녹화에 필요한 하드디스크 용량을 좌우하는 기술이다. 압축률이 높을수록 긴 시간 녹화가 가능해 하드디스크 비용을 줄여준다. 물론 압축률이 높더라도 동영상 품질은 유지돼야 한다. 국내 DVR 업체들은 대부분 자체 압축 알고리듬을 개발해 320×240 해상도 기준으로 프레임당 2∼3 의 압축률을 낸다. 이는 10 정도인 외국업체에 비해 매우 높은 기술 수준이다.
동영상 품질=DVR 동영상 품질은 압축 전과 압축 후의 차이가 없어야 높다. 이 차이가 크면 동영상 품질이 떨어지는 것이고 반대로 차이가 거의 없으면 기술력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국내 DVR 업체들은 3∼5 로 압축한 파일을 재생할 때 거의 차이가 없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네트워크 기능=인터넷이 일반화되면서 원격지에서 DVR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백업하는 기능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최근 국내 DVR 업체들은 일반 전화선은 물론 랜이나 인터넷을 통해서도 원격제어가 가능한 DVR를 출시하고 있다. 금융권처럼 전국 지점의 상황을 중앙에서 모니터링해야 하는 시장의 경우 네트워크 기능 지원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장동준기자 djjang@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CCTV와 DVR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