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장비의 정상적이고 효율적 운용을 목적으로 한 ‘국방 장비 정비 정보체계’ 마련이 추진된다.
8일 관련기관 및 업계에 따르면 국방부 CALS사업단은 국방 장비의 효율적 정비를 위해 연내에 장비 정비 관련 정보체계 사업에 착수키로 하고 늦어도 하반기 중 본 사업을 위한 계획서를 민간업체에 배포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 장비 정비 정보체계가 마련되면 수리부속의 정확한 수요예측이 가능해져 국방비의 적절한 사용 및 배분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국방부는 특히 국방 장비별·도입연도별 수리부속의 정확한 수요예측과 소요산정을 비롯, 장비별 정비 시설·인력의 정확한 소요 판단, 장비 현황의 정확한 파악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I업계의 관계자는 “육·해·공군의 군수물자 가운데 장비의 수리부속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나 현행 체계는 수리부속의 정확한 수요예측과 소요산정이 어렵게 돼 있다”며 “장비 정비 정보체계가 구축되면 이를 해결함으로써 국방 예산의 효율성을 크게 제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육·해·공군의 군수 정보체계를 완전 통합하게 될 이 사업은 장비 정비 정보체계를 개발하는 동시에 기존 물자 보급, 탄약 부문 정보체계와 연동시키는 본사업으로, 400억∼500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될 전망이다.
장비 정비 정보체계에 포함될 대상은 7종(완성장비) 보급, 9종(수리부속) 보급, 2종(수공구) 보급, 정비 실적 관리 체계 등 4개 부문이다. 이에 앞서 국방부는 국방연구원을 통해 이미 정보화전략계획(ISP)·혁신방안(BPR) 작업을 완료한 바 있다.
이같은 국방부 방침에 따라 대우정보시스템·삼성SDS·포스데이타·쌍용정보통신·현대정보기술 등 SI업체들은 이 사업이 발주되는 대로 수주경쟁에 본격 뛰어들기로 하고 전담팀 구성 및 사업제안서 준비 작업에 나서고 있다.
삼성SDS의 한 관계자는 “대형 프로젝트인 이 사업을 겨냥해 내달부터 SI업체간 컨소시엄 구성을 위한 합종연횡 움직임이 활발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이 사업을 주관해온 국방부 CALS사업단장이 지난달 교체되면서 사업이 당초 일정보다 늦춰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것과 관련, SI업계 관계자는 “올해를 넘길 경우 자칫 사업 자체가 무산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사업단에서는 올해 중 사업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온기홍기자 kho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