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무역 강국을 위해서는 무역성사 이전업무를 지원하는 인프라구축에 눈을 돌려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지난 10년 동안에 구축된 무역자동화망이 신용장(L/C)개설 이후 업무를 위한 인프라였다면 이제는 바이어정보, 해외마케팅 등 L/C개설 이전의 수출입 업무를 위한 인프라구축에 집중함으로써 전자무역의 적용을 전 무역업계에 확산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무역 e마켓플레이스 등 전자무역업계는 이와 함께 정부의 전자무역 육성방안이 전자문서교환(EDI)시스템 기반의 무역자동화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10만 무역업체들의 게이트 역할을 해주는 e마켓플레이스에 대한 지원책도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즉 무역 e마켓 업무가 무역의 첫단추인 바이어 정보제공, 마케팅, 계약성사 등의 과정을 전자무역으로 지원하는 기관임을 감안할 때 정부차원의 육성방안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최근들어 국내 무역 e마켓들이 열악한 자본으로 생존위기에 직면한 가운데서도 정부 및 각 지자체들은 오히려 해외 무역 e마켓플레이스들에 마케팅비용을 지불하고 있어 국내 전자무역 활성화에 의지가 있느냐는 불안감이 크게 작용했다.
전자무역업계는 우선 현재의 무역자동화망은 무역업체들이 수출L/C 수취, 수입L/C 개설 이후의 통관·물류·결제업무를 지원하고 있어 무역절차 간소화, 부대비용 절감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무역자동화망은 수출입무역이 성사된 이후의 전자무역 인프라여서 수출입 대상을 찾지못해 해외판로 자체가 막힌 무역업체들에는 당장 도움이 안된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EDI망을 통한 무역자동화가 제대로 실효를 거두려면 마케팅업무를 위한 전자무역 인프라가 마련돼야 하며 그 역할을 일선 e마켓플레이스들이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해 ‘전자무역(e트레이드) 육성시책’을 마련하고 무역자동화 확산사업과 함께 코트라 무역사이트인 ‘실크로드21’을 통해 무역마케팅 지원에 나선 바 있다. 그러나 이 지원사업은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두지않아 무역정보게이트 역할밖에 못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실제로 실크로드21의 해외바이어 정보는 무역 e마켓플레이스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그대로 옮겨놓은 것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업계가 무역업체 대상의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해외바이어 정보를 전자카탈로그화해 놓은 무역 e마켓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 무역센터를 방문하는 해외바이어가 하루 500명 미만인데 반해 무역 e마켓들의 온라인 방문객 수는 15만∼20만명에 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업계는 지원방안의 하나로 정부가 상이한 무역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하나로 묶는 작업과 교육, 컨설팅, 홍보 등을 e마켓들에 과감하게 맡기는 것 등을 제시하고 있다.
권태경 EC21사장은 “지금은 전자무역 활성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며 “국내 e마켓들이 고사된다면 무역의 시작인 바이어 발굴, 마케팅, 계약업무의 전자무역화 역할은 해외 e마켓들에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미 구축된 무역자동화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라도 e마켓에 대한 지원이 절실한 때”라며 “지난해부터 논의된 전자무역중개기관, e종합상사 역할을 이들에게 맡기고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명승욱기자 swmay@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