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2002대회` 정책토론 지상중계

 건설교통부가 주최하고 전자신문사가 후원한 ‘GIS2002대회’가 지난 22일 국내외 지리정보체계(GIS)분야 산학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개막돼 24일까지 계속됐다. 본지 5월 23일자 9면 참조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정책방향과 민간부문 GIS활성화를 위해 열린 이번 행사 가운데 둘째날인 23일 오후에는 ‘국가GIS정책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좌장인 배해영 인하대 교수를 비롯, 건교부와 정통부 등 주요 부처 관계자와 산학연에서 전문가들이 참석, NGIS추진과정에서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등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주요내용을 요약한다.

 △한상득(국립지리원 항측과장):지난 95년 시작된 ‘제1차 NGIS 기본계획’ 당시만 해도 NGIS는 수치지도 제작에만 매달려 왔으나 오늘날 점차 응용, 생활GIS 분야에 많은 접근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 ‘GIS2002대회’에서 발표된 11개 연구과제 중 일부는 세밀한 연구가 보완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GIS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본지리가 얼마나 충실한가 하는 점이다. 기본지형정보가 실시간으로 반영돼야 한다.

 △진희채(천안대교수):공간GIS를 이용한 분석기술과 IT기반의 서비스가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GIS나 위치기반서비스(LBS) 등 다양한 신기술과 패러다임을 대할 때, 이제까지의 GIS에 대한 보상심리에서 접근하는 방식은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명확한 서비스 모델을 제시해야 하고 앞으로도 다양한 신기술과 접목된 서비스 개발 노력을 병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염형민(국토연구원 GIS연구센터장):앞으로 GIS는 수평·수직적으로 저변을 확대해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 수평적으로 저변을 넓히는 것은 토지뿐 아니라 해양, 환경 등 다른 분야와 협력을 공고히 해야 이뤄진다. 수직적인 면은 학계와 연구계, 산업계가 협력해야 한다.

 △우재윤(한국건설기술연구원):연구결과 중 자격인증제 문제는 측량 등 기존 분야와 충돌 우려도 제기된다. 또 지난 91년 과학기술처에서 제시한 인력양성 패러다임과 차별화된 정책이 요구된다. 침체된 산업과 연구계를 위한 기폭제가 절실하다. 업계 발전을 위해서는 관료가 명철하게 정책을 세워야 한다.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상시 채널도 필요하다.

 △이영균(교통개발연구원 ITS연구센터장):GIS는 많은 부문에서 공공재 성격이 강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잣대로 모든 사업을 재려고 하다보니 상대적으로 불이익이 많다. 이번에 제안된 평가방안에서는 사업추진기관의 노력, 사용자 만족도가 포함되는데 공공재는 사용자가 불특정 다수라는 점을 십분 고려해야 한다.

 △김인현(한국공간정보통신 대표):GIS전문기업을 육성해야 한다. 대기업의 참여가 부족한 국내 GIS산업은 아직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문광부는 3000억원의 펀드를 콘텐츠에 투자했다. 건교부 역시 기반 구축뿐 아니라 산업활성화 및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 GIS에 대한 기술적인 접근 외에 경제·법률 등 인문적인 분야에서 분석이 제시돼야 한다. 특히 정책입안자들이 국가GIS에 대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배해영:GIS가 IT인가를 다시한번 생각해야 한다. 우리 스스로 GIS를 IT의 핵심산업이라고 생각한다면 IT를 지향한 연구가 수행돼야 한다. GIS활성화를 위한 첨단 IT기술을 발굴해서 우리나라가 세계 무대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임정규(정통부 정보화지원과 사무관):제2차 NGIS 기본계획은 좀더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한국전산원이 실시하는 정보화사업평가와 중복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NGIS정책은 건교부 외에 다양한 부처의 영역이 포함되는 만큼 부처간 유기적인 협력체제가 필요하다고 본다.

 △박민우(건교부 NGIS팀장):정부에서는 ‘제2차 NGIS 기본계획’을 추진 중이지만 장기적인 안목에서 계획하지 못해 지금까지 사업이 가장 기본적인 계획에서부터 체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건교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부터 체계적인 추진을 위한 ISP 작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서 국민의 생활에 도움이 되는 사업과 우선순위를 정하겠다. 또 이미 구축된 GIS 데이터베이스나 활용체계를 업무나 대민서비스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전문 공무원을 육성하겠다.

<정리=조윤아기자 forang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