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95년부터 추진해온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전략계획을 수립키로 한 것은 현행 NGIS사업의 분야별 추진 현황을 정밀 검토하고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디지털 국토’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틀을 짜기 위해서다.
◇NGIS사업 현황=정부는 그동안 수치지형도의 수정·갱신, 국가기준점 정비, 지적도면 전산화 등 기본지리정보구축과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토지이용 및 공공제한 관련정보, 7대 지하시설물 지리정보 등 다양한 활용체계 사업들을 추진해 왔다. 지리정보 유통 분야에서는 지난해 시범사업이 완료돼 현재 시험운용 중에 있으며 향후 지리정보 유통망의 확대, 구축도 준비중이다. 이와 함께 개방형 GIS 컴포넌트, 3차원 GIS 소프트웨어, 고정밀위성영상처리 등 GIS 핵심 기술개발과 표준화분과위원회 신설을 통한 표준화추진체계 정비 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특히 중국·동남아·중동 등 국내 GIS 업계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GIS기술센터 설립도 추진중이다.
◇문제점 및 개선 사항=현행 NGIS사업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과 개선사항들은 최근 건설교통부가 작성한 ‘2001년도 사회간접자본정보화 평가보고’를 통해 그대로 드러난다. 이 평가보고에 따르면 현행 NGIS사업을 통해 구축되는 각종 기본지리정보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효율적인 유통체계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따라서 공공은 물론 민간부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이 가장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NGIS사업의 기초가 되는 GIS 표준에 대한 지속적이고 조직적인 연구 및 지원체계도 크게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GIS표준을 기초로 국가지리정보체계 관련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국가 예산의 중복 투자를 방지하고 지리정보의 갱신 및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지적이다.
◇전략계획 수립 방향=국가나 민간부문에서 추진되는 각종 GIS사업의 추진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NGIS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하는 데 초점이 맟춰진다. 따라서 현재까지 NGIS사업 추진을 통해 축적한 성과와 문제점을 분야별, 유형별로 분류하고 건설교통부 등 13개 정부부처는 물론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진행하는 모든 GIS사업에 대한 실제 수요조사가 실시될 예정이다. 미국, 일본, 네덜란드 등 선진국의 국가GIS사업 세부추진전략에 관한 심층분석도 진행된다.
특히 지상, 지하, 해양 등 각 분야에서 추진되는 다양한 GIS사업간 연계성을 검토해 대안별 통합추진 방안을 마련하고 GIS표준화 현황 분석을 토대로 한 표준화 추진시행지침과 부처별 역할분담 방안도 수립된다.
◇기대효과=무엇보다, 오는 2005년까지 제2차 국가GIS사업을 추진하는 데 소요될 1조3000억원의 국가 예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투자 우선 순위를 수립한다는 점이 가장 기대되는 효과다. 실제로, 이번 NGIS 전략계획 수립을 맡은 국토연구원은 자원배분의 효율화를 높이기 위해 공공GIS활용체계 개발사업의 파급효과 및 활용도에 따라 사업 우선순위를 부여하거나 AHP(Analytical Hierachy Process)에 의한 우선순위 제시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또 정보기술 동향, 재원, 전문인력 등의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장단기별 정보화 추진전략도 제시할 예정이다.
민간부문 GIS사업 활성화를 통한 국내 GIS산업 육성과 첨단 GIS기술을 활용한 공공기관의 민원서비스 혁신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국토연구원은 현재 추진되는 각종 국내외 GIS사업을 검토, 선진적인 국가GIS사업 추진모델을 재설정하고 우수한 국내 GIS기술의 해외 진출 전략도 제시할 방침이다. 또한 기술적인 실현 가능성과 선진 기술 분석 등을 통해 빠른 기술환경 변화에 대응한 종합적인 GIS산업 발전 전략도 수립하기로 했다. <주상돈기자 sd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