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전자정부 비전과 전략 수립을 위한 ‘지식정보화 국가전략 포럼’이 국제정보정책·전자정부연구소(GEPEGI·소장 김성태) 주최로 29일 서울 명륜동 성균관대학교 600주년기념관에서 개최됐다.
전자신문사와 전자정부특별위원회가 공동 후원한 이날 행사에는 전자정부 추진 전략 및 과제, 기반 구축, 자치단체 전략 등에 관한 주제 발표와 함께 전자정부 산·학·연 관계자들이 직접 참가하는 종합 토론도 있었다.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전자정부 추진 과거와 현재(최영훈 광운대 교수)=행정과 정보기술의 관계는 전산화, 정보화, 전자정부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진화 단계의 일관된 목표는 정부의 생산성 향상과 서비스의 개선이다. 단지 구현수단과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날 뿐이다. 그러나 이같은 정책 목표는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조직의 실제 운영에 도움이 되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는 한국에 적합한 정보시스템개발론이 개발되지 못하고 정보통신산업 육성을 위한 수단으로 행정에 IT를 도입한 결과다. 따라서 시민을 위한 행정서비스의 제공과 정책과정 참여를 통해 사회적 합의를 이끄는 정보화 분야 정책논리가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 및 사회성장을 가져온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포스트PC 기술의 전자 정부 활용 전략(유혁 고려대 교수)=새로운 형태의 질높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정부는 포스트 PC의 기능과 목적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예가 된다. 기능성과 휴대성 및 편리성을 강조하는 포스트 PC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정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모바일 선거시스템, 민원처리온라인시스템, 입찰 참여, 실시간 차적 조회, 모바일 민원서류발급 서비스 등이 대표적인 예다. 따라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행정 업무, 정보, 행정 서비스, 커뮤니티 등을 통합하고 포스트 PC를 이용해 인터넷 환경에 쉽고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또 기존 업무와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기존업무시스템과 포스트 PC를 통합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차세대 전자정부 비전과 전망(이후연 삼성SDS 상무)=행정 혁신을 통해 가상적 통합정보처리체계를 구축하고 국민에게 맞춤형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정부가 미래 전자정부의 모습이다. 지능형 전자정부의 구현을 위해서는 단위업무 중심의 단순 문서처리에서 벗어나 통합시스템, 전자적 문서관리시스템을 거쳐 데이터웨어하우징, 지식관리시스템 등을 기본 요소로 하는 창조적 지식기반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주민 편의 중심의 현장 서비스 제공과 행정업무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모바일 행정 체계와 맞춤형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식기반 행정체계가 필요하다. 또 시·군·구 행정종합정보시스템 대상 확대 및 웹 구조로의 전환도 요구된다. <정리=주상돈기자 sd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