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도입하는 ‘디지털 빛고을카드’가 사업주체의 이해관계에 떠밀려 ‘빛 좋은 개살구’로 변질되고 있다. 빛고을카드는 지난해 말 광주시당국과 광주은행, 광주버스조합 등 3자간 협약에 따라 시내 가맹점과 대중교통수단에 포괄적으로 통용되는 통합 전자화폐로 추진됐으나 최근 버스조합측이 전면에 나서면서 버스용 교통카드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다.
광주시와 현지 업계에 따르면 광주은행·버스조합 등 유관기관들은 지난해 말 이 사업의 추진방침을 밝히면서, 실물 가맹점과 인터넷쇼핑몰, 대중교통수단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통합형 전자화폐를 도입키로 했다. 그러나 추진과정에서 버스조합이 버스운용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내세워 시당국과 광주은행을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사업화에 나서고 있다.
전자화폐공급자 선정작업도 소문만 무성한 채 공개적인 선정과정은 실종된 상태다. 특히 조합이 사업주체로 나서면서 당초 계획한 스마트카드 기반의 통합 전자화폐는 교통카드 중심의 마그네틱카드로 변질되는 분위기다.
광주시 역시 실무작업을 대중교통과에서 정보화담당관실로 이관하면서 적극적인 중재 노력보다는 ‘민간 수익사업’이라며 사실상 방관하는 입장이다. 발급기관으로 참여키로 했던 광주은행 관계자도 “당장 버스 교통카드로 써야 하는 입장에서 비록 무리한 수준이라도 조합측의 요구를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버스조합 관계자는 “사업자 선정문제는 순수 민간사업인 만큼 최소비용으로 최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이번 사업이 시민의 편익과 공익보다는 ‘수익’에 초점을 맞출수밖에 없음을 시인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서울·부산·경기·대전 등의 전례를 감안할때 자칫하면 공익이 도외시될 수 있다며 깊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대전시 한꿈이카드 주관기관인 하나은행 관계자는 “무엇보다 추진과정에서 절차의 투명성이 전제돼야 한다”면서 “이익은 시민과 사업자 모두에 고루 분배돼야 하는 게 원칙”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원래 계획입안 당시 현재 버스 1000여대와 오는 2004년 완공될 지하철, 5만여곳의 유통가맹점(2005년까지)에 디지털카드를 통용시키기로 했으며, 올해에만 30만장을 발급해 연말께 상용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kr 서한기자 h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