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료 싸고 네트워크 등 인프라도 탄탄…콜센터 메카 `대전` 뜬다

 대전이 신규 콜센터 구축의 핵심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 동안 본사 주변 또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위성도시에 콜센터를 배치했던 기관과 업체들이 통신비용의 절감과 저렴한 운용비용 등을 이유로 대전으로 콜센터를 옮기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기관들의 콜센터 대전이동이 두드러지고 올해부터 업체들까지 가세하면서 이른바 콜센터 지방시대가 열리고 있다.

 국세청, 특허청, 조달청, 철도청이 지난해 대전에 콜센터를 구축했으며 올해 초에는 병무청이 대전에 150석 규모의 음성인식솔루션(모델명 eVOICE시리즈) 기반 콜센터 구축에 착수했다.

 관공서 콜센터에 이어 금융권에서도 대전으로의 이전이 빨라지고 있다.

 이미 하나은행이 대전에 콜센터를 가지고 있는데 이어 국민은행도 오는 9월에 대전에 1700석 규모의 통합 콜센터 구축을 완료한다. 또 최근 모 대형은행이 대전으로의 콜센터 이전을 검토중이며 보험업계까지 이전계획을 타진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처럼 대전이 콜센터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는 까닭은 통신료 절감효과 때문이다.

 현재 국내 전화요금체계는 거리에 비례해 책정되며 콜센터는 한국통신에서 제공하는 080 또는 1588국번의 대표번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080의 경우 고객이 전화를 걸면 인근 한국통신 교환국을 통해 전화가 콜센터로 연결되고 기업이 시외전화 비용을 100% 부담한다. 따라서 기업입장에서는 전국을 커버할 경우 짧은 통화거리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며 위치상으로 우리나라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대전이 최적지다.

 대전의 신규 통신인프라도 업계의 구미를 당기고 있다. 대규모 회선을 필요로 하는 콜센터 구축에 있어 서울의 통신인프라는 거의 포화상태에 있다. 특히 서울지역에서도 중심지라 할 수 있는 서울역이나 광화문, 여의도 등은 교환기가 노후돼 대규모 회선을 얻기 힘들다. 금융권 전산실의 대부분이 송파구에 밀집돼 있는 것도 이 같은 회선부족을 이유로 하고 있다. 반면 대전은 계획도시를 기반으로 연구단지와 정부청사들이 구축하고 있는 통신장비가 최신장비로 대규모 콜센터를 구축하는 업체들에는 회선과 네트워크부분에서 서울보다 유리한 인프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대전지역이 사투리를 거의 사용하지 않아 상담원 확보가 용이하고 대지 임대료 등이 싸다는 것도 콜센터의 대전으로의 이전을 부추기는 이유다.

 예스테크놀로지 오선택 전무는 “서울중심의 콜센터가 구축됐던 것은 정보공유의 용이함 때문이었지만 최근 인터넷과 같이 지리적 한계를 넘어서는 다양한 정보공유 채널이 등장함으로써 정보공유의 문제도 사라지게 됐다”며 “특히 콜센터 운영에서 수익성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운영비용을 줄일 수 있는 대전지역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