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활동하는 젊은 한국 과학자 2명이 각각 하나의 금속 원자와 분자를 이용해 트랜지스터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영국의 과학저널인 네이처지 13일자는 하버드대 화학과 박홍근 교수(35)팀과 코넬대 박지웅씨(28)가 참여한 대니얼 랠프 교수팀이 각각 금 전극 사이에 바나듐과 코발트를 배치해 단트랜지스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히고 이를 표지논문으로 게재했다.
박홍근 교수팀이 만든 트랜지스터는 금으로 된 2개의 전극을 2나노미터 미만 간격으로 놓은 뒤 그 사이에 바나듐 원자 2개로 된 분자를 배치한 것이며 코넬대 연구팀은 바나듐 대신 코발트 원자를 사용했다.
두 트랜지스터에서 바나듐 분자와 코발트 원자 아래에 위치한 제3 전극(게이트)에 전기를 가하면 전자가 바나듐과 코발트를 통해 전극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전류가 흐르게 된다. 두 연구팀은 게이트 전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두 전극 사이에 전류 흐름을 자유자재로 통제함으로써 단분자 트랜지스터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전이금속 원자 1∼2개로 된 분자를 이용해 트랜지스터를 만드는 데 성공함으로써 비록 당장 실용화가 가능하지는 않지만 트랜지스터 소형화의 최종 목표에 도달한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 교수는 서울대 화학과 출신으로 스탠퍼드대학에서 4년 만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지난 99년 32세의 나이에 하버드대 교수로 임용돼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박 교수는 또 2000년에는 박지웅씨와 한 팀을 이뤄 탄소 60개가 축구공 모양으로 결합된 플러렌(C60) 분자를 이용해 당시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트랜지스터를 만들어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