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위성방송인 스카이라이프의 가입자당 수신료가 당초 예상보다 크게 높은 약 1만3800원선으로 집계됐다.
스카이라이프의 지난 5월중 가입자당 월평균 수신료는 약 1만3800원선인 것으로 잠정 추산됐으며 가입자수는 28만명을 상회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스카이라이프는 지난 3월부터 SDTV급의 상용서비스를 개시했으나 두달간 무료서비스를 거쳐 실제 수신료과금은 5월부터 진행했다.
가입자별 분포는 월수신료 8000원의 스카이온 서비스 가입자가 약 4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 1만8000원의 스카이패밀리 서비스 가입자가 50%를 차지했고 선택형은 5%였다.
스카이온 서비스는 스카이라이프가 보급형 패키지로 마련한 상품으로 TV 30개 채널과 오디오 10개 채널을 제공하고 있으며 스카이패밀리 서비스는 TV 69개 채널과 오디오 40개 채널을 제공하는 종합패키지 상품이다.
이와 함께 편당 1000원인 주문형영화(PPV) 서비스의 경우 28만여 가입자가 월평균 1편을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가입해지율은 약 1%를 밑돌고 있다고 스카이라이프측은 밝혔다.
◇1만3800원의 의미=월평균 수신료 1만3800원은 국내 유료방송 시장에 상당한 의미를 던져준다. 특히 1만3800원은 유료방송 시장의 성공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94년 케이블TV 출범과 함께 한 국내 유료방송 시장은 지금까지 그 잠재력이 낮게 평가돼왔다.
국내 케이블TV 가입자는 중계유선(RO)과 종합유선(SO)을 합쳐 1100만여명으로 추산된다.
이 중 다채널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1만5000원의 기본형 케이블TV 가입자는 80만명 안팎에 맴돌고 있으며 나머지는 4000원 정도의 보급형 가입자다.
특히 케이블TV 서비스 상용화 이전의 중계유선방송 서비스는 물론이고 케이블TV의 보급형 상품은 지금까지도 4000원선을 맴돌고 있다.
국내 케이블TV 사업자는 지금까지 유료방송 시장 개척보다는 케이블 인터넷 등 부가통신 서비스를 통해 매출증대를 꾀해왔다.
이같은 정황에서 나타난 스카이라이프 28만 가입자의 평균 수신료가 1만3800원이라는 점은 국내 유료방송 서비스 시장의 성공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는 근거가 된다.
가입자당 1편으로 나타난 PPV 서비스의 경우 외국방송사 실적(1.5편)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국내에서도 VOD 서비스의 안착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름대로 의미를 던져준다.
◇국내 유료방송 시장에의 시사=가입자당 1만3800원의 수신료 납부라는 스카이라이프의 경영실적은 앞으로 국내 유료방송 시장에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스카이라이프의 채널 패키지는 기본적으로 일부 영화 채널을 제외하고는 케이블TV와 대동소이하다. 대동소이한 채널패키지 군으로 1만3800원의 월평균 수신료를 이끌어낸 스카이라이프의 차별화는 사실 고품질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디지털에 있다.
스카이라이프는 경제형 수신기 채택으로 빛이 바랬지만 케이블TV나 지상파방송보다는 훨씬 선명한 SDTV 화질을 내보내고 있다.
이는 DVD수준의 화질을 의미하며 일반 아날로그방송 대비 1.64배의 해상도를 자랑한다.
케이블TV의 향후 경쟁력도 결국 디지털화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케이블TV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디지털화만 이뤄질 경우 스카이라이프보다 우월한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유료방송 시장의 건전한 경쟁체제 정립이라는 과제도 남겨줬다. 국내 케이블TV 시장은 지금까지 중계유선과 종합유선간 가입자 유치를 둘러싸고 전개된 제살깎기 경쟁이 전부였다.
출범 7년 동안 케이블TV SO와 중계유선방송 사업자는 가입자 업그레이드보다는 덤핑에 가까운 가격경쟁만 전개해왔다.
SO의 유료방송 ARPU(가입자당 월평균매출액)가 6000∼7000원선에 그치고 있으며 중계유선방송의 ARPU는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4000원선이라는 사실은 이에서 비롯된다.
엔터테인먼트 시대를 열어갈 주5일 근무가 시작되고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유료방송사업자들은 이제 디지털 기반의 고품질과 소비자 지향의 다양한 서비스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시룡기자 srch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