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회 벤처지원 포럼]기조발제-벤처기업 지역간 균형발전 방안

◆중소기업청 벤처기업국장 서영주

 

 2002년 5월말 현재 총 1만581개에 이르는 벤처 확인 기업들 중 72.8%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정보, 인력, 자금 등의 수도권 집중으로 일어나고 있는 이같은 벤처기업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심화되고 있다.

 지난 99년 전체 4984개 벤처기업 중 3319개(66.9%)가 수도권에 위치했으나 지난 2000년 8798개 중 6340개(72.1%), 2001년 11392개 중 8349개(73.3%) 등으로 수도권내 벤처비중이 매년 커지고 있다.

 특히 정보처리·소프트웨어 등 하이테크 산업의 경우 전체 3195개 기업 중 2783개(87.1%)가 수도권에 집중돼 특히 더 많은 집중현상을 보였다. 기술집약적형 벤처기업일수록 수도권을 선호하고 있다고 풀이된다.

 벤처 투자 부문에서도 지난 4년간 벤처 투자 실적이 제자리를 걷고 있는 가운데 전체 투자에서 지방 벤처에 투자하는 비율은 줄어들고 있다.

 지난 98년 전체 벤처 투자 자금에서 수도권 기업에 대한 투자 비율이 59.2%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87.2%로 수도권과 지방간 투자분야에서 격차가 더욱 커졌다.

 이는 벤처캐피털 대다수가 정보통신 관련 하이테크 기업들에만 집중 투자하고 있고 이들 기업이 수도권에 몰려 있는 데 원인이 있다.

 또 핵심 벤처 인프라격인 창투사 136개 중 124개가 수도권에 밀집해 있어 투자 대상 기업 발굴은 물론 지방 네트워크조차 형성하기 어렵다는 것도 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때문에 대다수의 벤처 기업들은 사업 환경이 좋고 투자 유치가 상대적으로 쉬운 수도권으로 몰리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국가내 지역간 균형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지역별 특화 산업을 선정, 육성하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실제 지역내 비교 우위 산업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는 지방 벤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선택과 집중’하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

 먼저 지방 대학 창업보육센터(BI)들의 특성화를 유도, 지방 기업에 인력·지식의 원활한 공급처로 활용하며 이를 기반으로 창업에 활기를 불어넣는다는 계획을 세웠다.

 벤처 창업 관련 서비스 지원 기관으로 전국에 고르게 분포해 있는 대학 창업보육센터만큼 적격인 시설은 없다. 특히 지방 벤처 지원 활성화 모델로서 창업보육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산·학·연 협력 구조는 유기적인 벤처 생태계 조성에 필수적이다.

 정부는 또 지방 벤처 전문 투자 조합을 확대하고 지원서비스를 확충키로 했다. 우선 올해 중 400억원 규모의 지방벤처 전문 펀드를 결성할 예정이다. 동시에 지방중기청, 지자체, 테크노파크, 법률 및 회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지원시스템을 더 확대할 방침이다.

 현재 전국 24개 지역에 지정해 놓은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 운영을 내실화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지방 11개 지역 지자체와 공동 펀드 형태로 600억원이 지원된 데 이어 올해는 800억원이 이들 지구에 지원될 것이다. 특히 중기청, 지자체의 지원아래 지방 벤처 기업, 대학, 연구소를 묶는 산·학·연·관간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해 각 촉진지구를 지역 강점이 반영된 벤처생태계로 육성할 방침이다.

 특히 테크노파크, 지역기술혁신센터(TIC), 지원협력연구센터(RRC) 등과의 연계를 강화해 시너지를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