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테크노파크 이종일 본부장
지난 97년에 설립된 송도테크노파크도 수도권 벤처 집적단지임에도 불구하고 입주 후 성장한 기업 대다수가 서울로 이전하고 있다.
이는 수도권과 지방간 문제뿐 아니라 수도권 내 도시간에도 불균형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벤처기업 핵심 경쟁력이 무엇이냐에 따라 단순 제조 등 고용 창출형 기업들은 지방을 선호하는 반면 첨단 기술을 집적한 하이테크 기업들은 관련 인프라가 잘 조성돼 있는 수도권을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화된 지원형태, 씨뿌리기식 단기 정책 수립에 급급한 정부의 태도, 관계 부처간 연계지원 부족은 벤처 지방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같은 학력이라도 서울이냐 지방이냐에 따라 평가기준이 달라 우수 인력이 수도권에 몰리는 것도 지방 벤처기업 성장에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지역에 적합한 업종을 선정해 육성하고 성장 환경을 조성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수도권은 첨단형 정보 통신 관련 산업을, 지방은 지역 특성과 고용효과를 고려한 산업을 선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자금과 경영 지원도 차별화해 지역 현실에 맞는 다양한 벤처캐피털 조성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덧붙여 지역 현실에 맞는 투자방식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컨설팅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투자재원 배분과 집행과정에서 반드시 지역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지방마다 의사 결정, 집행과정에 지역적 특성이 개입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최근 송도테크노파크는 시험생산 위주의 벤처기업들을 중점 육성하고 있다. 서울 외곽이라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 전략이다. 얼마전 국내 최초로 포스트BI를 설립해 벤처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있기도 하다. 여기에 제조시설 공간이 필요한 서울 기업을 유치하는데 성공한 경험도 갖고 있다. 지역적 특성과 차별성을 고려한 지방 벤처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지역이 결코 중앙의 축소판이 아니라는 것이다. 단순히 중앙의 각종 정책을 그대로 축소, 이전해 적용하는 것은 지역의 현실을 전혀 모르는 탁상행정의 표본이다.
지역 특성에 맞는 현실적 접근이 벤처기업의 지역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가 지금까지 조성한 각종 지원책, 법률, 인프라를 현실적으로 변형해 적극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역에 정책실행과 의사결정을 맡기고 정부가 사후 관리하는 분업체제도 고려해 볼 만 하다. 문제는 수도권, 특히 서울 중심적인 사고방식으로는 지역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