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 디지털 셋톱박스 POD분리 의무화 검토 케이블TV업계 "어떻게 할까나"

 복수 케이블TV방송국(MSO) 등 디지털케이블미디어센터(DMC) 추진 주체들이 정부의 국가표준 제정작업이 자신들의 의도와 달리 검토되는데다 이같은 검토가 조기 디지털상용서비스에 장애요소로 떠오르자 표준논의의 물길을 바꾸기 위한 체계적인 대응을 서두르고 있다. 이들 디지털케이블 추진주체들은 정부의 의중대로 디지털 케이블TV 표준이 확정될 경우 전략적인 디지털 대응이 불가능한데다 경쟁매체인 스카이라이프에 한없이 밀릴 수도 있다는 점 때문에 앞으로 정부와의 정책협의를 강화하는 한편 케이블TV업계 전반의 공론화 작업도 서두른다는 계획이다.

 ◇핵심쟁점 POD분리 의무화=정보통신부는 현재 미국FCC가 2005년부터 강제적용할 방침인 오픈케이블방식을 디지털 케이블TV 표준으로 채택한다는 전제아래 규격마무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오픈케이블방식의 기술표준 도입에 대해서는 서비스사업자는 물론이고 셋톱박스 생산업체·연구계 모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있다. 그러나 세부 규격의 적용에 대해서는 상황이 달라진다.

 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지난 주중 일부 케이블TV업계 기술담당자들에 “오픈케이블방식의 기술도입을 확실히하기 위해 POD 분리 의무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그 속내를 밝혔다. POD(Point Of Deployment)는 셋톱박스의 외장용 장치를 일컫는 기기로 수신자제한시스템(CAS)을 내장함으로써 오픈케이블 규격의 실체로 평가받는다. 정통부는 미들웨어 규격인 OCAP 규격과 케이블모뎀 관련 DOCSIS 규격적용은 POD와 달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방침도 덧붙였다. 정통부 고위관계자는 “오픈케이블 규격을 제2의 CDMA로 이끌기 위해 POD 분리 의무화에 욕심을 내고있는 것은 사실이나 오픈케이블 규격만 수용된다면 추진 주체들의 의사를 충분히 반영해 나갈 것”이라며 유연한 대응을 시사하기도 했다.

 ◇다급해진 사업자들=오픈케이블의 미완성문제에 따라 정통부의 보다 유연한 대응을 기대했던 디지털케이블TV 추진 주체들은 정통부가 ‘POD 분리 의무화만큼은 끌고가야하지 않겠느냐’는 비공식의사를 내비쳤다는 소문에 곧바로 실무자 대책회의를 개최하는 등 급박한 움직임을 보였다. 사업자들은 조만간 디지털투자를 진행할 MSO나 디지털미디어센터 대표자 모임을 갖고 POD분리문제에 대한 정부의 탄력적 대응을 촉구하는 한편 케이블TV 협회를 통한 공식적 대응도 주문할 계획이다.

 사업자들이 오픈케이블 규격수용을 말하면서도 이의 실체인 POD에 대해 강력한 태클을 걸고 있는 것은 현실적 고려 때문이다. 경쟁사업자인 스카이라이프가 출범100여일만에 30여만 가입자를 유치하는 등 디지털방송서비스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예상과 달리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이와달리 케이블TV사업자들은 디지털 투자를 하고 싶어도 국가표준에 발목이 잡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만약 POD 분리규정이 적용되면 케이블사업자의 디지털투자는 한없이 밀릴 가능성이 높다. 스카이라이프에 2년가까이 밀리는 상황도 예상된다.

 모 DMC추진업체의 대표는 “일부 국내장비업체가 연말께 상용제품 출시를 주장하고있으나 안정화는 물론이고 EPG등 주변솔루션과의 연동을 위한 시간 등 제품출시 이후에도 최소 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며 “국내장비업체의 주장을 수용하기에는 리스크부담이 너무 크며 그 주장을 액면 그대로 믿는다해도 시기적으로 너무 늦게 된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MSO업체의 대표는 “지금도 케이블TV 우량가입자들이 고품질을 표방한 스카이라이프로 빠져나가고 있는데 앞으로도 상용장비 부족으로 1년 이상 디지털투자를 못하게 된다면 케이블TV사업자들은 사실상 무장해제를 당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 MSO업체의 대표는 “안정적인 조기 디지털케이블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사업자위주의 현실적 대안검토가 무엇보다 필요하며 생산업체들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검증되고 경쟁력있는 제품을 출시,국내는 물론이고 미주시장까지 공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시룡기자 srch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