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 표준의 중요성이 한층 부각된 가운데 정부 차원의 표준화 활동은 주춤한 반면 민간의 표준화 활동은 날로 활기를 띠고 있다.
이에 따라 민간 업체가 표준화 활동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정부는 후방에서 민간을 집중 지원함으로써 국내 표준의 세계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4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정보통신부가 채택하는 정보통신국가표준(KICS) 제정은 98년 이후 4년간 한 건도 없는 반면 민간 단체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단체표준 제정건수는 98년 이래 4년동안 105건, 125건, 528건, 494건으로 늘어났다.
특히 공식 표준 제정 절차를 담당한 TTA와 달리 순수히 민간 주축으로 운영되는 28개 표준화 포럼은 출범 2년여만에 기업, 연구소, 학교 등 2700여개 기관과 5500여명의 개인회원이 참여해 표준안 제시, 워크숍, 국제표준회의 참가 활동을 역동적으로 벌여 국제 표준과 연계한 표준제정 활동의 주축으로 급부상했다.
표준안을 TTA에 제출, 단체표준으로 의결하는 각 포럼들은 각 기업 전문기술인력이 기술개발단계에서부터 유기적으로 참가해 다양한 의견개진과 상호조정을 거친 표준안을 제시해 TTA를 통한 공식표준제정 절차에서도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또 각 기업은 연구담당자를 자체적으로 국제표준회의에 참가시키는 한편 각종 표준기관 참여를 통한 자사 기술의 표준 제정을 적극 추진중이다.
전자통신연구원(ETRI) 표준연구센터 강신각 박사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고 기술개발단계부터 표준화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사실표준화 기구로 분류되는 업체 등 민간부분의 표준화 주도권 확보가 수년에 걸쳐 진행중”이라며 “국내는 물론 ITU나 ISO 등 국제공식표준기구들이 민간에서 올라온 표준안을 채택하는 사례가 많아져 국내업체들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용석기자 ys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