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은 국가경제의 근간(총 수출의 43%, 총 고용의 75%)으로 지식 경제의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국가 e비즈니스의 조기 정착과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범정부차원의 정보화 지원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
◇국가 e비지니스 체계 구축=산업자원부의 3만개 중기 IT화사업을 비롯해 정보통신부의 업종별 애플리케이션임대서비스(ASP) 보급확산 및 소기업 네트워크사업,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 생산정보화 사업 등 실제 수요를 감안한 차별화된 정보화 지원사업이 진행중이다.
이가운데 중기 IT화사업은 2002년 4월 말을 기준으로 기초정보 소프트웨어, ERP 및 협업적 IT, 사전 컨설팅 등의 분야에서 총 3만3168개 기업에 대해 지원 결정을 마친 상태다. 따라서 오는 2005년까지 3년동안 전자상거래율을 30% 수준으로(현재의 4배 수준) 높일 수 있도록 3만개 IT사업에 대한 내실화·고도화가 집중 추진된다.
전통산업 IT화를 위한 업종별 ASP 보급확산사업의 경우 지난해 15개 사업자가 선정된데 이어 올해는 제조, 의류·패션, 여행, 금융, 인쇄출판, 건설, 의료 등 분야에서 신성정보기술(자동차부품), 비트컴퓨터(의료), 오픈정보기술(의류·패션) 등 11개 업체가 추가 지정됐다. 소기업 네트워크화사업도 6840개 기업이 서비스에 가입하는 등 점차 활기를 띠고 있다.
이같은 다양한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은 자체적으로 정보화를 추진하기 어려운중소기업에 정보화 마인드를 확산시키고 최소 비용으로 정보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는 평가이다. 특히 ASP 보급사업은 중소기업의 IT화와 함께 ASP사업자에게 시장 개척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높이 평가됐다.
◇IT서비스에 대한 신뢰 부족=기업 정보 유출과 IT서비스의 지속성 등에 대한 불신이 중소기업 정보화 확산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지적된다. 이번 정보화사업평가에서도 중소기업들이 세금관련 정보누출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자체 정보화에 소극 대응함으로써 정보화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기업의 경우 해당 업종과 지역, 업체별 정보화 수준 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IT업체의 공격적 마케팅으로 인해 서비스의 커스터마이징이 부족한 수준이다.
특히 정통부의 ASP사업이나 중소기업청의 생산공정IT화, 정보화 컨설팅 지원 등 대부분의 부처별 지원사업들이 산자부가 추진하는 3만개 IT화사업과 중복돼 국가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 문제도 제기된다. 아울러 정보화 효과에 대한 홍보 부족과 비즈니스 관행을 개선하려는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노력도 크게 미흡한 것으로 지적됐다.
◇내실화 및 고도화=중소기업 정보화가 실질적인 국가 e비지니스로 발전하려면 각종 지원사업에 대한 내실화와 함께 철저한 사후 관리체계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정부도 시스템 유지·보수는 IT업계에 맡기되 IT업체의 관리·감독을 대폭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성과측정 모델을 마련해 향후 3년간, ERP 성과 및 전문업체의 객관적 수준을 평가해 매년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또 ASP사업 추진시 ASP 인증제도, 서비스수준협약(SLA), ASP 보험 등을 의무 적용함으로써 서비스에 대한 신뢰 확보와 함께 보급, 확산을 유도한다는 전략이다.
이와함께 사전준비를 통해 중소기업의 실제 수요에 부응하는 정보화 지원 방안도 요구된다. 이번 정보화평가에서도 세원노출을 꺼리는 중소기업의 비즈니스 관행을 고려해 정보화에 관한 각종 세제지원 방안이 마련돼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자발적인 IT사업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정부도 중소기업이 원하는 솔루션을 직접 선정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주상돈기자 sdjoo@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중소기업정보화 지원정책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