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이번에 마련한 IPv6 활성화계획(안)은 지난해 2월 발표한 ‘인터넷 신 주소체계(IPv6) 도입을 통한 차세대 인터넷 기반구축 계획’에서 밝힌 정부 정책의 기본방향을 구체화한 것이다.
IPv6는 10년내에 고갈될 것이 확실시되는 IPv4체계 주소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무선 통합환경과 홈네트워킹을 비롯한 다양한 고부가 인터넷서비스 및 e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차세대 인터넷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IPv6 조기도입이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그동안 세계 선진 각국이 IPv6로 대표되는 차세대 인터넷을 21세기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인프라로 보고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정부 주도로 본격적인 활성화 작업이 진행돼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고 구체적인 지원계획 마련을 위해 노력해 왔다.
구체적으로 한국전산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을 통해 IPv6를 기본으로 하는 차세대인터넷기반 구축사업과 기초기술개발 및 표준화작업 등을 추진해 왔으며 관련 산·학·연을 아울러 국제 IPv6포럼에 대응되는 IPv6포럼코리아를 결성한 것 등이 그 대표적인 예다.
정부는 앞으로 이번에 마련한 활성화 계획을 토대로 망구축기술, 관련장비 및 응용서비스 기술, 표준확보 등에 예산을 집중 투여할 계획이다.
단계별로는 2003년에 차세대인터넷 응용서비스 구현전략을 수립하고 2004년에는 산·학·연을 아우르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핵심 응용서비스 개발과 시험환경 구축에 나서는 한편 2005년에는 이렇게 개발된 기술을 일반 기업체에 이전해 상업화를 적극 유도할 방침이다.
정부는 특히 망구축 기술과 장비개발이 IPv6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망구축 기반기술 및 장비의 핵심부품 국산화를 통해 국내시장 보호와 수출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인 데이터퀘스트에 따르면 2005년경 IPv6 장비 시장규모는 세계 210억달러, 국내 547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에서 관련장비에 대한 핵심기술을 조기개발할 경우 얻게 될 경제적 이득은 적어도 수천억원에 이를 수 있으리라는 전망도 가능하다.
정통부 한 관계자는 IPv6 활성화 계획에 대해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라 계획단계에 불과하다”면서도 “IPv6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대규모 재원마련에 나선 것은 사실이며 조만간 구체화해 올해안에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소영기자 syjung@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IPv6 활성화 추진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