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인도 IT산업이 승승장구하고 있긴 하지만 그 영역이 전체인구의 5%에 불과, 이것은 곧 영어를 구사할 줄 아는 지식층에게만 국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IT산업에서 소외된 나머지 95%를 위해 스탠다드 폰트 개발이나 지역 언어를 지원하는 키보드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IT가 소도시에 적극 진출해야 한다.
앞으로 국내 IT산업의 성공 여부는 "이들 소도시를 어느 정도 공략하느냐!"에 달려있다고 MAIT(Manufacturing Association for Information Technology)의 상임이사 Vinnie Mehta는 아메다바드에서 개최된 `IT Industry in India-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말했다.
많은 국가들이 그러하듯 정부는 최대 IT 소비자이다. 따라서 저가의 솔루션 개발과 정부의 IT사용 권장이 이 산업 분야 육성의 필수 요소이다.
중국 IT 사용자의 약 60%가 정부 또는 주(州) 소유 기업을 통해 직매를 실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소프트웨어 교육 및 인력 양성, ERP 소프트웨어, 전자상거래 어플리케이션, 전자 지불, 온라인 쇼핑 등의 부문에서 중국의 IT시장은 인도 IT회사들에게 활짝 열려 있다. 또한 중국의 텔레콤 산업 부문 역시 인도 소프트웨어 회사들에겐 거대한 잠재시장이다.
구자라트 주정부는 33,000 Km의 OFC 네트웍을 이미 구축함으로써 e-governance 수행을 위한 환경을 조성했다고 GIL(Gujarat Informatics Ltd)의 대표 M Sahu는 말했다.
찬디나가르에 있는 주 사무국은 GSWAN이라는 거대한 네트웍을 통해 모든 행정구와 연결되어 있다. 이제 IT산업은 주정부의 주관하에 2단계 산업 전략을 펼쳐나가야 한다고 Sahu는 말했다.
WeP(Wipro e-Peripherals)의 총관리자 Ranbir Singh는 인도가 지역 언어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을 소지하고 있지만 어플리케이션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기존 시스템에 힌디어 폰트 개발을 위한 업체를 선정한 Indian Railways를 예로 들었다.
IBM India Ltd의 e-비즈니스 소프트웨어 센터 이사 Lalit Yagnik는 각 주정부가 신 경제에서 중심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e-governance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정부는 부의 창출과 경제 성장 분위기등을 조성을 해낼 수도 있고 동시에 그와는 정반대로 경기침체를 야기할 수도 있는 중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주)비티엔 제공 http://www.gate4indi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