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금융권 대기업 스마트카드사업 `용두사미` 우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주요 비금융권 사업자 스마트카드 프로젝트 현황

 비금융권 대기업들이 잇따라 대형 스마트카드 사업계획을 발표하면서 시장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일련의 계획들이 상당부분 거품일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통신·정유 업계와 솔루션 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는 스마트카드 사업들은 대체로 사용자 흡인력이 부족한 데다 인프라(단말기) 구축비용 조달방안과 참여 금융기관의 실익문제 등에서 구체적인 전략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업계 일각에서는 면밀한 사업전략 수립이 선행되지 않을 경우 자칫 ‘소문난 잔치’로 끝날 공산이 크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SK텔레콤이 지난해 ‘모네타카드’로 촉발시킨 비금융계 주도형 스마트카드 사업은 KTF와 LG텔레콤에 이어 LG칼텍스정유와 KT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수백만∼수천만명까지 고객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 기업은 공동투자 및 발급기관으로 금융기관과 전자화폐 업계, 신용카드조회(VAN) 업계를 끌어들여 일단 안팎의 관심을 모으는데 성공하고 있다. 특히 최대 통신사업자인 KT는 몇군데 금융기관과 제휴, 연내 3000만명에 달하는 유무선통신 가입자에게 스마트카드를 발급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프로젝트 대부분은 뚜렷한 고객혜택 여부는 차치하고라도 초기 인프라 구축비용 조달이나 참여주체들의 공동이익 창출방안에 대해 극히 불투명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신용카드·전자화폐·솔루션업체들에 제안요청서(RFP)를 발송한 바 있는 LG칼텍스정유는 5개월이 지나도록 사업자 선정도 못하고 있다. KT 역시 공동 투자비용을 참여 금융(발급)기관에 상당부분 떠넘길 구상이지만 참여에 따른 실익을 고려할 때 금융기관이 어느 정도 적극적일지는 미지수다.

 최근 신용카드업계의 경영여건이 초긴장상태가 계속되면서 스마트카드와 같은 분야에 공격적인 투자가 사실상 어렵게 됐기 때문이다.

 그나마 모네타카드·KTF멤버스카드·m플러스카드 등 이동통신 제휴카드의 경우 적립 포인트로 신형 휴대폰을 교체해주는 혜택을 제공하면서 일정 규모의 고객층이 형성되고 있는 정도다. 하지만 이마저도 참여 발급기관의 포인트 적립부담이 커지면서 카드사들은 최근 소극적인 자세로 돌아서고 있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사용자에 대한 확실한 혜택과 참여 사업자들간 윈윈전략, 초기 인프라 투자의 분담은 사업성패를 가름하는 철칙”이라며 “지금껏 발표된 사업들은 이같은 원칙이 결여된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솔루션 전문업체가 주도하는 지방자치단체 교통카드(통합 전자화폐) 사업도 사업성이 불투명하기는 마찬가지다. 케이비테크놀러지의 경우 최근 충남·전남 지역 운송사업자로부터 전자화폐 솔루션 사업자로 선정됐지만 단말기 구축비용 조달과 투자회수 방안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 지자체의 경우 실제 투자를 주도할 사업주체에 앞서 솔루션 사업자를 선정하기도 한다”면서 “지자체 교통카드 사업이 빛좋은 개살구가 되고 있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라고 고백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최근 비금융권 사업자들의 무분별한 사업관행이 이어질 경우 시장분위기만 부풀리는 대신 시장토대도 닦기 전에 중도하차하거나 찬물을 끼얹을 공산이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