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무역이 21세기 국제무역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되면서 전자무역 시스템을 갖추는 국내 무역업체들도 빠르게 늘고 있다. 전통적인 무역에 비해 전자무역은 시간과 비용절감 효과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전자무역 시스템이 완전히 구축될 경우 향후 3년내에 국가적으로 연간 30조원 이상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절감뿐만 아니라 전자무역 체인을 이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국내 업체들의 전자무역 이용은 아직은 초기단계로 주로 계약 전 단계에 활용하고 있다. 전자무역에 대한 관심은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모두 높지만 실제로 참여하기에는 현실적인 장애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무역협회가 지난해 실시한 전자무역거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들은 전자무역을 수행할때 겪는 어려움에 대해 △거래상대방의 신용도와 수출입계약 관련 진위여부 확인이 어렵다는 답변이 28.6%로 가장 많았으며 △거래상대방을 찾기 어렵다는 답변이 19.9%로 나타났다. 문서변조와 사기 가능성도 전자무역 활성화의 걸림돌로 지적됐다. 또 최근 조사한 전자무역 활용실태 조사에서도 전자무역 활용 부진사유로 응답업체의 32%가 기술인프라가 부족하거나 활용방법을 모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자무역은 다른 인터넷비즈니스와 마찬가지로 거래상대방과 얼굴을 직접 대하지 않는 비대면 거래라는 특징을 지닌다. 전자무역은 정보수집에서 마케팅·상담·계약체결·무역금융·통관·대금결제·물류 등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이 e마켓플레이스상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그 어떤 분야보다도 제품과 상대방에 대한 신뢰와 보안인프라가 필수적이다.
특히 전자무역은 국내 비즈니스가 아니라 국가간에 이뤄진다는 점에서 보안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다.
복잡한 무역업무를 인터넷을 통해 처리함으로써 절차와 비용을 줄이려면 보안과 인증이 뒷받침 돼야 한다. 공인전자서명은 보안과 인증을 동시에 해결하는 핵심요소다.
전자무역에 공인전자서명을 적용하는 것은 인터넷뱅킹이나 사이버트레이딩 등에 적용하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무역절차상 여러 단계를 거치므로 다자간 전자서명이 필요하고 유지돼야 하며, 전자서명된 문서가 유통되고 소유권도 이전되기 때문이다. 또 오프라인인 종이 문서와의 연계도 필요하다. 국가간 상호연동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대표 신동오)은 전자무역이 갖는 이런 특징들을 감안한 공인인증시스템을 구축, 전자무역에 적용할 예정이다. 지난 99년부터 인증서비스를 제공해온 이 회사는 지난해 전자무역의 글로벌화를 위해 국제적 상호운용성을 가진 전자무역인증센터를 구축, 운영해 왔으며 지난 3월 국내서는 여섯번째로 공인인증기관으로 지정됐다.
KTNET은 8월말부터 한국무역협회가 제공할 ‘수출입 실적증명 전자발급서비스’에 처음으로 공인전자서명을 적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각종 전자무역 응용서비스로 확대 적용해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수출입업체들은 무역협회를 직접 방문해 실적증명을 종이문서로 발급받았으나 앞으로 공인전자서명이 적용되면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공인인증서를 이용해 온라인으로 실적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됐다.
KTNET은 올해안에 인터넷EDI(상역·외환)서비스와 통합무역관리 등 5개 부문의 응용서비스에 공인전자서명을 적용할 계획이며 내년까지는 25개 응용서비스에 모두 적용할 예정이다.
KTNET은 공인전자서명이 전자무역에 적용돼 본격적인 서비스가 이뤄질 경우 기업들의 무역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기반의 SSO(Single Sign On) 시스템이 갖춰지게 돼 상역·외환·통관·물류·결제 등 모든 무역업무를 원스톱으로 처리, 세계 5위 무역대국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KTNET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려면 등록대행기관(RA)인 한국무역협회본부와 11개 지부에 신청하면 되고 앞으로 6개 공인인증기관간 상호연동이 이뤄지면 다른 공인인증기관에서 발급한 법인용 인증서도 전자무역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박영하기자 yhpark@etnews.co.kr>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전자서명을 적용할 경우 일반 응용서비스와 전자무역의 차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