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 지급결제 확산 `이중고`

 e마켓 거래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거래실적의 간접적 지표인 기업간 상거래(B2B) 지급결제 전자보증 규모도 침체에 빠졌다. 특히 산업자원부가 B2B 거래 활성화를 위해 지난 3월 신용보증기금 컨소시엄을 지급결제 시범사업 주체로 선정했지만, 금융결제원이 최근 일부 시중은행들과 공동으로 B2B 결제시스템 구축에 나서면서부터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급결제 서비스를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추진주체간 혼선이 시급히 정리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9일 관련기관 및 업계에 따르면 신용보증기금이 신한·하나·한미은행 등과 함께 제공하고 있는 B2B 전자보증 실적이 올 들어 현재까지 100억원 남짓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보증은 구매·판매기업과 e마켓을 연계한 순수 온라인 대출과 지급결제에 투입된다는 점에서 이 정도 실적은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당초 신용보증기금은 올해 전자보증 목표액으로 1조원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신보는 최근 삼성전자가 대리점과의 거래에 전자보증을 도입키로 한 것을 계기로 INI스틸과 농심 등 대기업 전자거래 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다. 중소기업들이 주종을 이루는 전문 e마켓에만 매달려서는 B2B 지급결제 서비스를 확산시킬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신보 관계자는 “e마켓 시장의 냉각이 예상밖으로 풀리지 않고 있다”면서 “그렇다고 신용도에 무관하게 중소기업들에 무작정 전자보증을 해줄 수는 없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신보는 올해 전자보증 실적이 최대 4000억원 수준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산자부 시범사업 주체인 신보 컨소시엄과는 별개로 최근 금결원이 9억원의 공동 분담금을 출연, 은행권 공동의 지급결제시스템 구축에 나서자 어려움은 더욱 커지고 있다. 지급결제 서비스 당사자인 은행권의 힘이 분산되기 때문이다. 신보컨소시엄에는 외환·하나·기업·산은캐피탈 등이 참여해 지급결제 관련 표준화 및 시스템 구축을 진행중이고, 금융결제원은 전체 은행을 모아 유사한 B2B 지급결제 시스템을 도입중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추진주체인 금융권이 역량을 모아도 모자라는 판에 공적인 시범사업마저도 기관간 주도권 다툼에 진척이 더디다”고 꼬집었다. 이에 따라 현재 침체의 늪에 빠져있는 B2B 시장이 최소한의 타개책을 찾기 위해서도 핵심 인프라 서비스인 지급결제 관련 사업준비는 금융권의 역량이 결집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