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KT가 공식 출범했다. 민영KT의 출범은 재계 6위의 거대그룹이자 유무선을 아우르는 통신전문기업이 민간기업으로 거듭나는 것이어서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KT는 유·무선 통신 전문기업이며 재계 6위의 거대그룹으로 국가 기간산업의 중추라는 점에서 민영기업으로서의 새출범에 쏠리는 국민과 업계의 관심은 지대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한편으로 KT는 치열한 생존경쟁을 헤쳐 나가기 위해 미래사업으로서의 수익사업을 개발해야 하고 공익성에 대한 바깥의 요구도 수용해야 해 앞길이 순탄한 것만은 아니다.
◇미래사업을 찾아라=민영 KT의 지상명령이다. KT는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통신시장의 경쟁환경을 헤쳐 나가기 위해 ‘수익성’이 될 만한 신규사업을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는 세계적인 통신사업자들도 똑같이 겪었던 어려움이다. 외국 사업자들의 실패사례는 KT의 미래사업 찾기기 그다지 쉬운 일이 아님을 예고했다.
KT는 미래사업으로 유무선통합사업, 초고속인터넷사업, 홈네트워킹사업, e비즈니스(비즈메카), 복합휴대폰 서비스(원폰서비스) 사업, 방송·통신을 융합한 서비스사업 등을 신규 및 미래사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하지만 초고속인터넷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은 현재 이렇다할 결과물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구조조정=민영화에 대한 기대와는 반대로 KT 내부에서 가장 우려하는 대목이다. KT의 수익모델이 당장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구조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됐다.
인력의 경우는 전주보수 등 기능직 업무에 종사하는 인력에서부터 관리분야 인력에 이르기까지 전부문에 걸쳐 예외없이 대상이 될 수 있다. 조직도 통폐합이 예상된다. KT는 그간 구조조정을 통해 97년 이후 모두 1만5000여명의 인력을 정리했다. 계약직이나 임시직 등 비정규직 등을 포함하면 이보다 더 많은 인력이 회사를 떠났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용경 신임사장은 인력감축은 없다고 밝혔으나 1인당 매출액이 선진업체의 25%에 불과한 상황에서 ‘가능성’을 배제할 수만은 없다.
◇과제와 전망=아무래도 공기업의 ‘때’를 벗는 게 급선무다. 많이 변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KT는 공기업 시절의 관행이 많이 남아있고 조직의 경우도 민간기업과 비교해 비대하다.
공익성에 대한 의무도 피해갈 수 없다. 정통부는 KT의 민영화에도 불구 보편적 서비스를 비롯해 초고속망 구축의무, 국가 중요 통신의 안정적 제공 등의 의무를 지속적으로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공정경쟁여건 조성을 위해선 가입자선로 공동활용 및 번호이동성 시행, 역무별 회계분리기준 강화, 장기증분원가방식 도입 등을 통한 규제를 지속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이들 정책 대부분이 KT와 밀접한 것들이다.
반면 SK텔레콤과 같은 경쟁사업자들의 힘은 예전에 비해 막강해졌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민영 KT의 향후 1년은 공사 시절의 10년에 해당할 정도로 KT 임직원들은 큰 변화에 직면할 것이며 이를 슬기롭게 극복하는 게 새로운 과제”라고 말했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KT 민영화 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