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전지로 평가받는 자동차용 연료전지 개발 프로젝트가 정부의 예산타령으로 빛도 보지 못한 채 사장될 위기에 처했다. 이에 따라 관련업계는 기술개발 차질을 우려하는 등 정부의 전향적인 재검토가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최근 ‘포스트 G7’ 과제 가운데 하나인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부문의 세부과제로 추진해온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을 예산부족 등을 이유로 1차연도 사업과제에서 제외시켰다.
산자부의 관계자는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에 최소한 연간 30억원이 필요하지만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용도로 책정된 예산이 80억원에 불과해 다른 과제 수행을 위해 1차연도 사업에서 이를 제외하기로 결정했다”며 “추후 예산이 확보되는대로 지원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동차·연료전지·석유화학 등 관련업계는 미국·유럽·일본 등 선진국들이 미래의 자동차시장을 겨냥, 연료전지 개발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는 상황에서 예산이 없다는 핑계로 세부과제에서 탈락시킨 데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정부 프로젝트는 1차연도에 예산부족을 이유로 들어 제외된 연구개발과제가 2차연도에 다시 채택된 전례가 드물다”면서 “자칫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계획 자체가 유명무실화될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을 선도하고 있는 현대자동차는 30일 산·학·연의 관련인사를 초청,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의 필요성과 발전방향, 해외 개발현황 등을 골자로 하는 워크숍을 개최, 연료전지의 중요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선진국들은 연료전지를 이용하면 연비 효율이 기존 자동차보다 50% 가량 개선되고 공해물질 배출이 거의 없는 초저공해 자동차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기술개발에 정부의 역량을 집중하는 상황이다.
실제로 미국은 지난 1월 고연비 내연기관 자동차 대신 연료전지 자동차를 미래형 자동차로 규정, 2012년까지 매년 최소 1억5000만달러 이상을 투자한다는 전략을 수립했으며 일본도 정부 차원에서 연료전지 실용화 추진위원회를 구성, 차량 및 발전용 연료전지의 상용화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결합할 때 발생하는 전자 흐름을 이용해 전류를 만드는 환경친화적인 제품”이라면서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서둘러 이뤄지지 않으면 연료전지 분야의 또 다른 기술종속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환기자 daeba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