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 일정액만 추가로 내면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액제 방식의 요금제가 유선전화시장에 잇따라 도입된다.
KT가 오는 10일부터 시내외 전화요금의 정액제를 실시키로 방침을 정한 가운데 하나로통신·데이콤·온세통신 등이 이달안에 시내외 전화요금 정액제를 도입할 예정인 등 정액요금제가 유선통신 전사업자로 확산될 전망이다.
유선통신 요금의 정액제는 초고속인터넷 등 일부에만 적용됐으나 이번에 시내외 전화로도 확산됨으로써 앞으로 정액요금제가 주력 요금제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내용=KT(대표 이용경)는 유선통신사업자로는 처음 기존 가입자가 자신의 월평균 전화요금에 일정한 금액의 추가 요금만 내면 시내외 전화를 마음껏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정액제를 오는 10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KT의 정액요금제는 월평균 통화료에 따라 1만원 미만 사용자의 경우 1000원만 추가로 부담하면 이용시간·이용횟수에 제한받지 않고 무제한으로 통화할 수 있는 파격적인 요금상품으로 KT는 오는 12월 9일까지 3개월간만 한시적으로 가입 신청을 받는다.
추가요금은 시내전화의 경우 △월 1만원 이내 1000원 △1만∼2만원 미만 1500원 △2만∼3만원 미만 2000원 △3만∼5만원 미만 3000원 △5만원 이상 5000원 등이며 시외전화는 3만원 이내는 시내전화와 같으나 △3만∼4만원 미만 2500원 △4만 ∼5만원 미만 3000원 △5만∼10만원 미만 3500원 △10만원 이상 5000원 등이다.
하나로통신(대표 신윤식)도 이달 안에 정액요금제를 실시키로 내부 방침을 정하고 이르면 이달 중순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현재 마케팅부 내부에서 요금제와 관련한 세부사항을 검토하고 있으며 시행시기는 KT가 실시키로 한 10일 전후로 잡고 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원래 하나로통신이 먼저 검토했으나 KT가 먼저 터트리는 바람에 김이 샜다”며 이른 시일 안에 시행할 방침임을 재차 밝혔다.
데이콤(대표 박운서) 역시 KT의 시행시기 전후를 D데이로 잡고 있으며 후발사업자인 만큼 KT보다 저렴한 가격을 제시할 방침이다. 이밖에 온세통신(대표 황기연)도 이달중 정액요금제를 시행키로 하고 세부사항을 검토하고 있다.
◇도입 배경=유선사업자가 도입하는 정액요금제는 유선전화의 쇠락에 따른 ‘기존 고객 붙들기’ 및 유선사업 부문의 수익성 제고 차원이 강한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평가하고 있다.
이동전화와 인터넷전화(VoIP)시대를 맞아 급감하고 있는 유선전화 가입자를 향해 통신비를 일정부분 절감할 수 있는 저렴한 요금체계를 제시해 이탈을 방지하고 수익성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의 하나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KT는 이동전화·인터넷전화 등 새로운 통신서비스의 등장으로 시내전화의 경우 5년 전과 비교해 절반 가량, 시외전화의 경우 3분의 1 가량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했다. 또 통신망의 트래픽 용량을 증설해 50% 가량의 시설 여유분이 생겨 이번 제도 도입으로 인해 기존 고객의 통화량이 증가하더라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KT의 최안용 마케팅본부장은 “최근 이동전화 통화량이 늘어나면서 유선전화의 통화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데 대한 수익기반 강화책의 하나”라면서 “기존 고객의 30∼40%가 이번 요금제를 선택할 것으로 예상돼 우량고객 확보는 물론 통화수익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망=이번 맞춤형 정액요금제의 등장은 매월 일정한 금액을 내고 무제한으로 시내외 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 가입자의 호응을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월평균 1만원 미만의 통화를 하고 있는 고객이 90% 안팎의 비율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1000원만 더 내면 시내외 전화를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 가정 고객의 반응이 뜨거울 것으로 예상된다.
유선사업자들도 정액요금제를 통해 우량고객 확보는 물론 감소일로에 있는 통화량 수익의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기대했다. 유선사업자들은 특히 이번 제도 도입의 성과를 봐가며 종량제 위주의 전화요금을 정액요금제로 전환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단 도입 취지와는 달리 설비용량이 늘기는 했다고는 하지만 전화량이 폭주할 경우 트래픽이 발생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업계에선 민영화한 KT가 향후 수익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전략을 경쟁사업자들에 앞서 구사할 경우 후발사업자들의 입지가 갈수록 줄어들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