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20주년특집>CEO 내년 경기전망(1)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업종별 해외 인력 도입 계획 여부

 ◇정부 중소기업정보화 사업에 대한 IT업계 시각

 IT업계 CEO들은 정부의 중소기업정보화사업이 산업 전반의 IT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중소기업정보화사업에 대해 ‘매우 성과가 있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3.9%에 불과했으나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다’는 응답이 과반수를 넘는 55.6%로 집계돼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비율이 59.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별다른 성과가 없다(35.3%)’와 ‘전혀 성과가 없다(1.3%)’ 등 성과가 없었다는 응답도 36.6%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10명 중 4명은 정부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반적으로 정부 정책에 대해 강하게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비율이 적어 대부분의 CEO들이 현 정부의 중소기업IT화 정책이 ‘무난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풀이됐다.

 정부의 중소기업정보화사업에 대해 긍정적 평가 비율이 높은 업종은 ‘반도체·부품 분야(73.%)’와 ‘정보통신·인터넷 분야(64.2%)’였으며 긍정 평가 정도가 낮은 업종은 ‘가전(45.0%)’과 ‘산업전자 분야(40.9%)’로 중소기업정보화사업의 수혜업종이 첨단 제품·서비스 분야라는 것을 방증했다.

 정부의 향후 ‘중소기업정보화사업’과 관련해 IT업계 CEO들이 중점적으로 지원되기를 원하는 것은 ‘자금 지원’으로 전체의 37.2%가 응답했다. 다음으로는 ‘정보화 인력난 해소(33.4%)’, ‘대기업과의 협력체계 구축(20.2%)’을 들어 결국 중소기업에 대한 가장 중요한 지원책은 무엇보다 ‘자금지원’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자금지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업종은 ‘산업전자(59.1%)’ ‘컴퓨터(66.7%)’ 등이었으며 ‘정보화 인력난 해소’는 ‘반도체·부품 산업 분야(39.0%)’와 ‘유통산업(60.0%)’이 높게 나타났다. 또 ‘대기업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중점 부문으로 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야는 ‘반도체·부품 업종(26.8%)’인 것으로 조사됐다.

 회사 규모별로는 종업원수 50인 이하의 업체들이 특히 ‘자금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51∼200인인 중간수준인 업체는 ‘정보화 인력난 해소’를, 종업원수가 201인 이상인 업체들은 ‘대기업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중점 부문으로 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자금유동성평가

  IT업계 CEO들이 체감하는 올해의 자금흐름은 지난해와 비교해 다소 호전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자금흐름 상태에 대해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작년(41.1%)과 비슷한 41.2%였으나 ‘매우 좋은 상태’라는 응답이 지난해 4.8%에서 올해는 9.1%로 늘었고 ‘어느 정도 좋은 상태’라는 응답도 지난해 21.5%에서 32.0%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낙관적 평가’가 지난해 26.3%에서 올해는 41.1%로 매우 높아진 반면 ‘비관적 평가’는 지난해 32.5%에서 올해는 17.0%로 크게 낮아졌다.

 이러한 자금 상태를 과거 전자신문의 연도별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해 보면 100점 만점(매우 좋음:100, 어느 정도 좋음:75, 보통:50, 다소 안좋음:25, 매우 안좋음:0)으로 환산할 때 1999년 66.1점, 2000년 60.2점, 2001년 48.3점으로 지속적으로 나빠졌으나 올해는 57.4점으로 상당히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올해 업종별 자금상태를 100점 환산치 평균으로 살펴보면 가전 61.2점, 반도체·부품 61.0점, 유통 60.0점, 컴퓨터 58.3점, 소프트웨어·SI·게임·영상 56.3점, 산업전자 53.4점 등이고 정보통신·인터넷 분야는 가장 낮은 52.8점으로 자금흐름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조사결과와 비교해 크게 반전된 것으로 지난해 자금상태는 유통 55.0점, 컴퓨터 53.6점, 정보통신서비스 53.4점, 반도체 부품산업 45.2점, 산업전자 52.1점이었으며 올해 가장 높은 가전분야는 38.3점으로 가장 낮았다.

 주요 자금조달 방법으로는 올해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은행대출이 가장 높은 32.7%를 차지했으나 그 비율은 지난해 56.9%보다 크게 낮아졌다. 특히 지난해는 은행대출 다음으로 동원된 것이 ‘정부기금 대출(12.9%)’이었으나 올해는 투자유치(15.7%), 유무상 증자(11.8%), 정부기금 대출(9.8%)로 순위가 뒤바뀌어 전반적으로 정부기금을 활용하는 기업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환율

 환율의 변동은 IT업계의 경영환경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답한 비율이 전체의 28.0%, ‘어느정도 있다’는 비율이 49.0%인 것으로 집계돼 10개 업체 가운데 약 8개 업체는 환율 변동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 환율 변동의 영향이 가장 큰 분야는 수출비중이 높은 반도체·부품업계와 가전업계로 ‘매우 영향이 크다’고 답한 비율이 각각 전체의 43.9%와 40.0%를 차지했다. 또 ‘어느정도 영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각각 48.8%와 35.0%로 이들 분야는 전체의 약 80%가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보통신·인터넷분야도 ‘매우 영향이 크다’는 응답이 28.6%,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가 50.0%였으며 컴퓨터는 ‘매우 영향이 크다’ 22.2%,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가 66.7%였다. 반면 소프트웨어·SI·게임·영상업계 중 ‘매우 영향이 크다’고 응답한 업체는 한 곳도 없고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는 응답도 50.0%인 것으로 나타나 환율의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환율은 생산공장을 운영하는 업체인 경우 88.0%(매우 36.2% + 어느 정도 51.8%), 운영하지 않는 업체인 경우 43.1%(매우 2.7% + 어느 정도 40.4%)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돼 생산공장 보유 여부에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업계가 경영상 견딜 수 있는 최대 환율 평균치는 1137원인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가전이 1163원, 산업전자 1144원, 컴퓨터 1150원 등으로 7개 분류 업종 가운데 환율에 대한 대응력이 비교적 낮은 그룹으로 분류됐으며 비교적 환율 대응력이 높은 분야는 소프트웨어·SI·게임·영상 분야가 1104원, 유통 1125원, 정보통신·인터넷 1134원, 반도체·부품 1136원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업원 규모별로는 50인 이하의 경우 견딜 수 있는 환율 평균치가 1213원인 반면 401인 이상 업체는 1104원인 것으로 나타나 종업원수가 많은 업체일수록 환율변동에 따른 대응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IT업계 CEO들이 예상하는 내년도 달러당 환율은 1100∼1200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47.7%로 가장 높았으며 1200∼1300원이 30.1%, 1000원∼1100원 17.6%, 1300원∼1400원 사이는 0.6%에 불과했다.

 

 ◇인력운용계획은

 IT업계 CEO들은 앞으로 연구인력과 영업인력을 중심으로 인력을 증원해 기술력과 영업력을 앞세운 경영을 전개할 계획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생산인력의 확대는 자제하고 관리인력은 다소 축소하며 임원은 현행 수준을 유지한다는 것이 전자·정보통신 업체 인력운영의 개략적인 방향이다.

 인력 수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업체는 전체의 41.2%로 ‘원활하지 않다’는 응답의 58.2%보다 낮아 전반적으로 전자·정보통신업체들은 인력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인력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업종은 반도체·부품 분야로 65.9%가 ‘원활하지 못하다’고 답했으며 반대로 ‘원활하다’는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야는 컴퓨터(55.6%)였다. 생산공장을 운영하는 업체는 ‘원활하다’는 비율이 51.4%인데 반해 생산공장을 운영하지 않는 업체는 ‘원활하다’는 비율이 37.9%로 집계돼 공장운영업체들이 인력수급에 더 애로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수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업체를 대상으로 인력수급의 애로점을 물은 결과 잦은 이직(30.4%)과 인력의 절대부족(30.2%)이 차지하는 비율이 많았고 고임금(22.5%)과 인력의 질 저하(12.3%) 등도 원인으로 꼽혔다.

해외인력 도입 계획 및 도입 예상 부문과 관련한 질문에서는 ‘해외인력 도입 계획이 있다’는 업체 비율이 44.4%, 없다는 업체 비율이 55.6%로 상당수의 업체에서 도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 계획이 있는 업체 비율이 많은 업종은 정보통신·인터넷 업종 53.6%, 산업전자 50.0% 등으로 높았고 ‘도입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업종은 컴퓨터(77.8%), 소프트웨어·SI·게임·영상업종(67.9%) 등이었다. 특히 생산공장 운영업체의 50.9%가 도입계획을 갖고 있으며 운영하지 않는 업체의 도입계획 비율은 24.2%였다.

 해외인력 도입은 단순직(조립 등)이 가장 많아 54.4%를 점했으며 소프트웨어 부문이 23.5%, 하드웨어 기술·전문직이 5.8%, 마케팅·기획이 11.9%인 것으로 나타나 단순직뿐 아니라 전문직과 마케팅 기획 부문의 인력 도입을 검토하는 업체들도 상당수인 것으로 집계됐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