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로 떠오르고 있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의 상용화 데뷔 무대가 어디가 될 것이냐를 두고 전문가간 논란이 분분하다.
IPv6는 인터넷 프로토콜인 IPv4가 IP주소 고갈과 이동성 한계 등 문제점을 노출함에 따라 미국과 유럽의 전문가그룹에 의해 대체기술로 제안된 것으로 국내에서도 정보통신부 주도로 산·학·연·관이 앞다퉈 기술개발과 시장환경 조성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IPv6의 도입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공감하면서도 어떤 서비스에 가장 먼저 도입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시장성과 업체이익 및 기술적 성숙도 등에 대한 평가에 따라 유선 기반의 초고속인터넷이냐, 무선랜이냐, CDMA 기반 이동통신서비스냐를 두고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 어떤 의견이 힘을 얻느냐에 따라 정보통신부의 정책방향과 일선 개발업체의 개발전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초고속인터넷=김형수 KT 통신망연구소 차세대인터넷연구실장은 “우리나라의 전국적인 초고속인터넷 인프라를 고려할 때 여기서부터 도입되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라며 “특히 KT는 유선, 무선 인터넷과 이동통신까지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유무선 통합환경을 고려중”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KT를 제외한 여타 사업자의 입장은 다르다.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가입자가 1000만명에 육박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고객이 KT에 집중돼 있어 나머지 사업자들은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어서 장비 업그레이드에 비관적이다.
◇무선랜=장비업체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나선 벤처기업 등에서는 IPv6의 가장 큰 특징이 주소자원의 풍부함과 이동환경에서도 IP주소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가 유리하다는 점임을 고려할 때 그 어떤 분야보다 무선랜 분야에서 가장 먼저 도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특히 IP주소 자동설정과 같은 장점은 노트북PC와 PDA 등 모바일 기기에서 그 효과를 가장 극대화할 수 있는 데다 무엇보다 이들 기기가 대부분 윈도 운용체계를 채택하고 있어 시스템 구성이 용이하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박재홍 아이엠넷피아 사장은 “기술적 측면에서 봤을 때 장점이 가장 크게 부각될 수 있는 분야부터 도입되는 것이 당연하다”며 “현재 진행중인 공중 무선랜 사업이 활성화된다면 이 바람을 타고 무선랜 분야에서 가장 빨리 보급될 것”으로 내다봤다.
◇3세대 이상 이동통신서비스=일각에서는 IMT2000 등 3세대 이상의 이동통신서
비스가 멀티미디어 기반 무선인터넷 시장의 성장세에 힘입어 IPv6 도입을 서두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IP주소를 필수적으로 부여해야 할 4세대 이후에는 IPv6 이외에 다른 대안은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동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워낙 다양한 운용체계를 사용해 IPv6가 모두 지원되도록 하려면 손이 많이 가는 데다 장비 업그레이드도 유선사업자에 비해 시간이 오래 걸리는 특성이 있다”며 “2, 3세대 이통서비스에서 IPv6가 상용화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소영기자 syj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