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와 문화관광부가 디지털콘텐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500억원 규모의 초대형 투자조합결성이 민간투자업체들의 참여 저조로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정통부와 문광부는 각각 125억원씩 250억원의 자금을 투자하고 민간 업체들로부터 나머지 250억원을 모집해 총 500억원 규모의 투자조합을 결성키로 한 바 있다.
최근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이 업무집행조합원 선정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했으나 민간 투자사의 참여가 극히 저조한데다 참여신청 마감시한인 25일까지 신청서를 제출한 투자사가 S, J, H 등 당초 기대에 밑도는 중소 투자사 3개사에 그쳤다.
이에따라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은 신청한 이들 업체가 250억원의 자금을 모집할 수 있는지를 적극 검토한 이후 적합한 업체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 2차 공고에 들어가거나 투자조합 결성 자체를 전면 재검토할 계획이어서 조합결성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형편이다.
정부가 대대적인 홍보와 함께 결성을 추진했던 이번 사업에 이처럼 투자사 참여가 저조했던 것은 당초부터 예견됐던 것이다.
메이저 창투사의 관계자는 “올해 들어 국내뿐 아니라 미국·일본 등 해외에서도 자금상황이 악화된데다 디지털콘텐츠산업의 경우 리스크가 높은 편이라 투자분위기가 크게 냉각된 상태”라며 “이같은 최근의 상황을 고려하면 100억원을 확보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 투자사들이 선뜻 업무집행조합원을 맡으려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기존의 다른 문화콘텐츠 관련 투자조합도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해 실제 투자 실적은 극히 저조한 상태가 이어지고 있으며 문화부가 지난 5월말 30억원의 종잣돈을 출자해 결성할 예정이었던 100억원 규모의 문화콘텐츠 6호 투자조합도 70억원의 민간자금을 확보하지 못해 조합결성을 보류한 상태다.
더구나 창투사를 비롯한 대부분의 민간 투자사들의 경우 이번에 정부에서 결성키로 한 투자조합의 투자대상이 상대적으로 투자위험이 높은 디지털영상콘텐츠 분야에 한정돼 민간에서 250억원이라는 거금을 끌어들이기는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한 투자사 관계자는 “정부가 디지털영상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인정할 수 있지만 시장상황을 전혀 무시한 채 한건주의식의 탁상행정을 펼친 데 따른 것”이라며 “정부가 콘텐츠산업을 육성할려는 의지가 있다면 정부 투자금으로 사업을 펼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